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진그룹 2인자’ 석태수 한진칼 사장, 사내이사 연임 가능성은?

‘한진그룹 2인자’ 석태수 한진칼 사장, 사내이사 연임 가능성은?

등록 2021.11.05 10:30

수정 2021.11.05 10:47

이세정

  기자

공유

내년 3월 임기 만료, 2013년부터 등기임원고 조양호 선대회장 최측근, 노련한 전문경영인조원태 체제 첫 인사서 대한항공 부회장직 용퇴세대교체, 2선후퇴 경영조언자 역할 자처할수도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한진그룹 오너일가를 2대에 걸쳐 보필해온 석태수 한진칼 대표이사 사장의 사내이사 연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석 사장은 지난 2019년 말 임원인사에서 대한항공 부회장에서 물러나며 경영 일선에서 한 발 물러난 바 있다.

5일 재계와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고(故) 조양호 선대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석 사장은 내년 3월 한진칼 사내이사 임기가 만료된다.

석 사장은 한진칼 출범 직후인 2013년부터 사내이사와 대표이사를 번갈아가며 맡아왔다. 조 선대회장 별세 직후에는 조 회장을 도와 그룹 경영을 안정적으로 이끄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와의 경영권 분쟁에서 방어 전략 등을 진두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내 2인자’ 석 사장은 1955년생으로,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MBA를 취득했다. 1984년 대한항공으로 입사한 석 사장은 손 꼽히는 재무전문가다. 대한항공 경영기획실장과 미주지역 본부장을 거쳤고, 물류 계열사 ㈜한진의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특히 한진해운 대표이사로 근무하며 한진해운 청산 과정을 총괄한 인물이기도 하다.

석 사장은 조 선대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2018년 신설된 대한항공 첫 부회장으로 올랐다. 당시 대한항공은 오너일가를 둘러싼 여러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했고, 조 선대회장은 가장 최측근인 석 사장을 임명했다. 다만 한진칼에서는 사장 직급이 그대로 유지됐다.

조 회장이 2019년 총수에 오른 직후 단행한 첫 임원인사의 핵심은 ‘세대교체’였다. 조 선대회장 ‘복심’이던 OB(올드 보이)들은 대부분 용퇴했고,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과 하은용 대한항공 부사장 겸 한진칼 CFO(최고재무책임자) 등 조 회장 측근들이 전진배치됐다.

석 사장은 이 시기에 대한항공 부회장직에서 물러났지만, 그룹 지주사 대표이사 자리는 지켰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외부 세력으로부터 경영권을 방어하는 동시에, 조 회장의 경영 멘토라는 과제를 부여받은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석 사장이 이번에도 사내이사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에 의심을 품는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결정 이후 산업은행이 한진칼 주주로 등장하면서 KCGI는 분쟁 동력을 상실한 상태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반도건설과 맺은 동맹전선도 와해됐다.

석 사장이 지난 6월 정석인하학원 이사직에서 내려온 점도 2선 후퇴로 해석할 수 있다. 한진그룹은 정석인하학원을 포함해 정석물류학술재단, 일우재단 총 3개의 공익재단을 소유하고 있지만, 정석인하학원의 위상은 남다르다. 한진칼과 대한항공 지분을 보유한 정석인하학원은 조 선대회장이 오랜 기간 이사장을 맡아 왔고, 그룹 경영권과도 연관이 깊다.

한진그룹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임원인사를 건너뛴 만큼, 올해는 소폭 실시할 것이란 주장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조 회장이 친정체제를 강화하고, ‘젊은 피’ 수혈에 나설 것이란 의견이다. 이에 따라 석 사장도 조언자로의 역할에 머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진칼 사내이사 3자리 중 2자리에 재무 전문가가 올라있는 만큼, 업무 중복에 대한 지적도 존재한다. 조 회장, 석 사장과 함께 한진칼 사내이사를 맡고 있는 하은용 부사장은 대한항공 재무본부, 해외영업지점, 경영기획실, 운항본부 등과 ㈜한진 재무담당, 한진정보통신 감사 등을 두루 거쳤다.

다만 재계 한 관계자는 “석 사장은 오랜 기간 한진그룹에서 일하며 그룹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추고 있는 노련한 전문경영인”이라면서도 “불확실한 경영환경을 고려해 석 사장이 대표이사직을 더 수행할 여지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