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은성수 “삼성생명에 삼성전자 주식 자발적 매각 권고”

은성수 “삼성생명에 삼성전자 주식 자발적 매각 권고”

등록 2020.07.29 15:44

장기영

  기자

공유

은성수 금융위원장.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은성수 금융위원장.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9일 삼성생명이 시가 기준 총자산의 3%를 초과하는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도록 금융위가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삼성생명에 문제를 지적했고 자발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환기시켰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 매각 관련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질의에 “삼성이든 보험사든 금융사가 자산을 한 회사 집중 투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가치를 시가로 평가해서 그 때 그 때 위험성을 파악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우리나라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총자산의 3% 이상 계열사 지분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데 삼성생명은 6조원 정도다. 이 법이 있는 데도 삼성생명은 시가로 24조~30조원이나 되는 삼성전자 주식 8%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지난 20대 국회에 이에 21대 국회에서도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계열사 주식 보유 한도인 총자산의 3%를 초과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토록 하는 내용의 ‘보험업법’ 개정안, 일명 ‘삼성생명법’을 발의한 상태다.

이 개정안은 보험사의 계열사 주식 보유 한도 계산 시 기준을 취득원가에서 공정가액으로 변경토록 하고 있다.

현재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은 8.52%로 시가 약 26조원 규모다. 지분을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할 경우 20조원 이상의 주식을 매각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박 의원은 “삼성생명의 총자산은 주식의 비중은 무려 14%인데, 다른 생명보험사들의 총자산 대비 주식 비중은 0.7% 밖에 안 된다. 가격 변동에 따른 충격이 삼성생명은 다른 회사에 비해 20배 크다”며 “삼성전자가 지금은 괜찮은데 위기가 오면 삼성생명이 우리 경제 슈퍼전파자가 될 것이라는 얘기를 전임자인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했고, 2018년 4월 삼성생명이 빨리 자발적으로 개선하라고 읍소했는데 2년이 넘도록 자발적으로 해야 한다고 얘기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렇게 되는 이유가 금융위가 만들어놓은 ‘보험업감독규정’ 때문인 것도 잘 아느냐”며 “삼성생명이 삼성전자 주식을 30조 정도 취급받을 수 있는 것을 취득원가로 했다. 삼성전자가 액면분할하기 전에 200만~300만원 하던 주식 1주 가격을 5만원으로 평가하도록 해줬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은 위원장은 “금융위 규정으로 바꿨을 때 만약 따르지 않으면 처벌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있다. 강제할 수단이 있어야 하는데 없어서 입법하면 따르겠다고 했던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생명에 자발적으로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결국 외부 압력에 의해서 할 거다. 갑자기 충격 받지 말고 미리 하는 게 좋다고 분명히 얘기했다”며 “강제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권고했던 것이고 방향성은 동감한다”고 덧붙였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