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하나금융 새가족’ 하나손보, 자본확충 언제?

‘하나금융 새가족’ 하나손보, 자본확충 언제?

등록 2020.06.09 16:39

수정 2020.06.09 17:29

장기영

  기자

공유

3월말 RBC비율 업계 최저 128.3%하나금융 참여 유상증자 실시할 듯

하나손해보험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 추이. 그래픽=박혜수 기자하나손해보험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 추이. 그래픽=박혜수 기자

하나금융지주의 14번째 자회사로 공식 출범한 하나손해보험(옛 더케이손해보험)의 재무건전성이 업계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져 시작부터 비상이 걸렸다.

새 최대주주 하나금융이 참여하는 유상증자가 유력시 되는 가운데 자본 확충 방법과 시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하나손보의 올해 3월 말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은 128.3%로 지난해 12월 말 127.7%에 이어 2분기 연속 금융당국 권고치 150%를 하회했다.

RBC비율은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자본적정성 지표다. ‘보험업법’에 따라 모든 보험사의 RBC비율은 반드시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금융당국의 권고치는 150% 이상이다.

하나손보는 지난해 9월 말 169.2%였던 RBC비율이 120%대로 떨어진 이후 업계 최하위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른 손해보험사의 올해 3월 말 RBC비율은 삼성화재(296.9%), 한화손해보험(235.5%), 메리츠화재(229.6%), DB손해보험(219.7%), 현대해상(214.8%), KB손해보험(189.1%), 흥국화재(176.4%), 롯데손해보험(174.2%) 등의 순으로 높다.

RBC비율이 100% 아래로 하락할 경우 지난 2018년 3월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MG손해보험과 같이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 하나금융 자회사로 공식 출범한 하나손보의 최우선 과제는 자본 확충이 될 전망이다.

하나손보는 이달 1일 하나금융 김정태 회장과 함영주 부회장, 권태균 하나손보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개최했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 2월 14일 한국교직원공제회가 보유한 하나손보 지분 7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으며 4월 29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자회사 편입 승인을 받았다.

하나손보의 유력한 자본 확충 방법으로는 새 최대주주 하나금융이 참여하는 유상증자가 거론된다.

경쟁사인 롯데손보의 경우 지난해 10월 최대주주가 롯데그룹에서 사모펀드(PEF) 운용사 JKL파트너스로 바뀐 직후 37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롯데손보의 지난해 9월 말 RBC비율은 141.4%로 금융당국 권고치를 밑돌았으나, 유상증자 이후 194.9%까지 상승했었다.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 다른 자본 확충 방법도 있지만 초저금리 장기화로 국내외 채권 발행 시장이 경색된 상황이어서 수천억원의 자금을 한꺼번에 조달하는데 한계가 있다.

실제 올해 초 채권을 발행하기로 결정한 일부 보험사는 한국은행의 0%대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발행 시기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한화손보와 같이 채권 계정 재분류를 통해 RBC비율을 끌어올리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한화손보는 지난 2월 만기보유증권의 계정을 재분류해 지난해 12월 말 181%였던 RBC비율이 5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