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호승 경제수석, 분배 악화 비판에 “하위 20% 소득 증가세 전환 긍정적”

이호승 경제수석, 분배 악화 비판에 “하위 20% 소득 증가세 전환 긍정적”

등록 2019.08.25 19:49

유민주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청와대가 25일 올해 2분기 가계소득과 관련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격차가 분기 기준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는 지적에 대해 “전체 가구의 소득이 높아진 점을 비롯, 하위 20% 계층의 소득이 5분기 연속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세로 돌아선 점 등을 고려하면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지난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와 관련한 브리핑을 갖고 “하위 20% 계층의 소득이 증가세로 돌아서고, 전체적인 소득 수준에서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며 “(소득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효과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강해졌다”고 자평했다.

이 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통계청 조사에 대해 설명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추가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며 이런 분석을 소개했다.

우선 이 수석은 “명목소득이든 실질소득이든 가계소득 전체를 놓고 보면 2018∼2019년은 다른 해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분배격차가 심해졌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2018년 이후를 보면 1분위(하위 20%)의 소득 증가율은 줄곧 마이너스였지만, 올해 2분기에는 0.045%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이 수석은 또 5분위 배율(소득분배 불균등을 나타내는 수치로, 클수록 더 불균등하다는 뜻)이 지난해 5.23에서 2019년 5.30으로 높아졌지만, 정책효과를 통해 감소시킨 수치 역시 지난해 2.76에서 올해 3.77로 늘었다고 소개했다.

사회안전망 강화 등 정책노력이 지난해보다 더 큰 효과를 발휘했다는 것이 이 수석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이 수석은 “하위층에서 소득증가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2분기 기준으로는 (소득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효과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까지 강해졌지만, 아직 정부가 할일이 남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수석은 특히 하위 20% 계층인 1분위에서 고령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 등 구조적인 요인이 소득격차 심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소득격차) 기저에 흐르는 원인은 고령화”라며 “하위 20% 가구에서 60세 이상의 가구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64%인데 이는 2014년에 비해 10%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가 성장해 소득이 올라가도 고령자에게는 영향을 크게 주지 못하는데 고령자들의 취업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며 고령자 비중이 큰 것이 하위층 소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실업급여, 근로장려세제(EITC ), 한국형 실업부조에 등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한다”며 적극적 재정 운용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뉴스웨이 유민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