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내년 한국경제 어두워···성장률 하락세 전망

내년 한국경제 어두워···성장률 하락세 전망

등록 2018.10.21 09:52

이한울

  기자

공유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확 낮춘 가운데 내년 한국경제는 활력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늘고 있다.

21일 연합뉴스는 한은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한은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9%와 2.8%에서 각각 2.7%로 낮췄다고 보도했다.

한은은 현재 경기는 ‘잠재성장률 수준’이라고, 앞으로는 ‘잠재성장률과 차이가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은이 그동안 추정한 한국경제 잠재성장률은 연 2.8∼2.9%다. 2.7%는 오차범위 내라고 할 수 있지만 잠재성장률보다 높다고 말하긴 어렵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단순하게 보면 0.1%포인트 내려갔지만 실제로는 더 많이 떨어지는 셈이다. 비교 기준인 올해 수치에서 0.2%포인트 낮아진 데서 또 하락하는 것이어서다.

한은은 설비투자가 올해 -0.3%에서 2.5%로 플러스 전환하고 지식재생산물투자가 2.5%에서 2.8%로 확대될 것으로 봤다.

다만 건설투자는 -2.3%에서 -2.5%로 더 부진하고 상품 수출은 3.5%에서 3.2%로 약간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는 2.7%로 같은 수준일 것으로 봤다.

한은은 세계경제 상황을 다소 보수적으로 전제하고 이처럼 전망했다고 밝혔다.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각각 3.7%와 3.6%로, 세계교역 신장률은 4.0%와 3.8%로 전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 성장률을 올해와 내년 각각 3.7%로 봤지만 한국경제에는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이달 IMF가 발표한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8%, 내년 2.6%다. 올해 전망치는 한은보다 0.1%포인트 높지만 내년엔 0.1%포인트 낮다.

한국경제는 유럽 재정위기로 수출이 타격을 입고 내수도 부진했던 2012년(2.3%) 이래로는 3% 안팎 성장세를 이어왔다.

그런데도 IMF는 내년엔 한국 경제 성장이 2%대 중반으로 떨어진다고 본 것이다.

이는 현대경제연구원 전망치와도 같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는 2.8%로 같지만 내년엔 2.5%까지 떨어진다고 봤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2.9%에서 내년 2.7%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성장 전망을 2.7%로 떨어뜨렸지만 내년엔 오히려 2.8%로 올라간다고 봤다.

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한 지난달 말 기준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와 내년 2.8%와 2.7%다.

다른 기관들과 마찬가지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낮다.

IB 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한달 새 각각 0.1%포인트씩 내려갔다.

특히 내년 성장률을 HSBC가 2.7%→2.6%로, UBS는 2.9%→2.7%로 낮췄다.

전월엔 골드만삭스와 UBS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9%→2.7%, 3.0→2.9%로 내렸다.

오석태 SG 이코노미스트는 지난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후 낸 보고서에서 한은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2.7%)는 SG 전망치(2.4%)에 비해 너무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은이 추가 하향 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웨이 이한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