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사비 부족으로 공공공사 수주할수록 적자 심화”

“공사비 부족으로 공공공사 수주할수록 적자 심화”

등록 2018.05.16 15:58

주성남

  기자

공유

국내 건설관련 22개 단체는 16일 열린 ‘공사비 정상화 탄원 및 전국 건설인 대국민 호소대회 선포’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공사비 부족으로 공공 공사를 수주할수록 적자가 심화되고 건설업 경영여건이 한계상황에 직면해 이대로 가면 산업기반 자체가 무너질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10년간 건설업 영업이익률이 10분의 1수준으로 크게 감소했고 공공공사의 적자 공사 비율이 37.2%에 달하고 있다”며 “이는 삭감위주의 공사비 산정방식과 저가투찰을 유도하는 입찰제도에 기인한 것으로 지난 15년간 예정가격은 최대 14% 이상 하향 조정된 반면 낙찰률은 17년간 고정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로 인해 원도급자는 물론 하도급·자재·장비업체 동반 부실과 근로여건 악화 및 시설물 안전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이르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날 건설관련 22개 단체는 적격심사제 및 종합심사낙찰제 낙찰률 10%p 상향, 중소규모(100억∼300억) 공사 표준시장단가 적용 배제 등을 정책당국에 요청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대로 가면 건설업체도 쓰러지고 국민안전도 쓰러질 수밖에 없다”며 “일한 만큼 제값을 받고 제대로 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한편, 건설관련 단체는 2만8,411개사가 서명한 ‘국민안전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공사비 정상화’ 탄원서를 정부 및 국회에 제출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