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박성경 이랜드 부회장 “중국사업 위기 아냐···중국 법인 상장은 아직”

박성경 이랜드 부회장 “중국사업 위기 아냐···중국 법인 상장은 아직”

등록 2016.01.17 12:00

정혜인

  기자

공유

중국 투자비용 증가로 영업이익 하락킴스클럽 매각 통해 재무구조 부담 해소

지난 14일 중국 상하이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박성경 이랜드그룹 부회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이랜드그룹 제공지난 14일 중국 상하이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박성경 이랜드그룹 부회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이랜드그룹 제공


박성경 이랜드그룹 부회장이 ‘중국 사업 위기설’에 대해 여전히 수익률이 높다며 논란을 일축했다.

박 부회장은 지난 14일 중국 상하이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SPA, 유통점 오픈 등 중국 사업 기간 동안 가장 많은 투자를 했고 그러니 수익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그러나 한번은 수익이 떨어지는 한이 있어도 투자를 늘려가야 한다”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이랜드 중국법인이 이전만큼 고속성장하는 단계가 아니고 중국 내 3개 계열사 이익률이 떨어지고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옛날에는 영업이익률이 25,26%였는데 그건 있을 수 없는 수치”라며 “오랫동안 고속성장할 때 가능했던 수치로 그 어떤 기업도 못했고 앞으로도 못할 기적이었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해 이랜드의 영업이익률이 12,3%였는데 그건 일반 기업보다 엄청 잘 한 것이고 어떤 대기업보다 최고의 수익을 내고 있다”며 “영업이익률 일반 평균보다 훨씬 낮아졌다면 문제겠지만 이전에 말도 안 되는 기적 같은 것에서 떨어졌다고 해서 중국에서 나빠졌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영업이익률이 낮아진 원인에 대해서는 투자비용이 늘어난 것을 꼽았다. 박 부회장은 “중국 유통사업 준비를 위해 2년전부터 최고의 인력과 MD, 사입 등을 위해 비용이 꽤 들어갔다”며 “또 사업영역을 넓혀야 해 홍콩·대만·말레이시아 등 중화권 전 지역에 SPA를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업 확장으로 인한 재무구조 부담을 어떻게 타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재 진행중인 킴스클럽 매각을 언급했다.

박 부회장은 “킴스클럽을 매각하면 부채비율이 200% 초반대로 내려오기 때문에 팔게 되면 매각 대금을 전부 부채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반면 그 동안 꾸준히 제기돼온 중국법인 상장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최근 일각에서는 이랜드에 최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자금수혈에 IPO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랜드리테일은 2017년 목표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박 부회장은 “중국법인 상장은 아직까지는 계획이 없고 정말 더 매력적인 회사를 만들어 상장하고 싶다”며 “아직 목표에 비해 미비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으며 회사 상황도 당장 상장하지 않으면 어려운 상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직 회사에 대해 만족을 안 하고 사는데 조금 더 사업을 하면 가치 있는 회사가 될 것으로 본다”며 “이랜드리테일 상장은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혜인 기자 hij@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