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경환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교각살우 범할 수도”

최경환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교각살우 범할 수도”

등록 2015.10.21 14:14

현상철

  기자

공유

“근로시간 단축, 우리경제 활력제고·체질개선 특효약”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뉴스웨이DB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뉴스웨이DB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20일 노사정 대타협 후속조치로 추진되는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우리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급격한 단축을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광주에 소재한 (주)한영피엔에스에서 지역 중소기업 대표 및 근로자와 간담회에 참석한 최 부총리는 “근로시간 단축은 우리경제 활력제고와 체질개선을 위한 특효약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들에게 일-가정 양립과 삶의 질 향상을, 기업에게는 생산성 향상을, 나아가 경제전체적으로는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선순환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급격한 근로시간 단축 시행 시 교각살우(矯角殺牛. 쇠뿔을 바로 잡으려다 소를 죽인다)의 우를 범할 수 있다”며 “근로자와 기업들이 미처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근로시간을 급격히 단축할 경우 오히려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ILO(국제노동기구)도 국가별 관행·산업여건 등을 고려한 단계적 축소를 권고하고 있고, 실제로 미국·일본·독일 등 과거에 근로시간을 단축한 국가들도 3~12년에 걸쳐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시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여당이 발의한 근로기준법도 2017년부터 기업규모별로 4단계로 나눠 근로시간을 단축해 나가도록 했다”며 “특별연장근로를 2023년까지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재량근로시간제를 확대하는 등 연착륙 유도를 위한 보완방안도 병행키로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근로시간 단축의 일자리 창출, 생산성 향상, 일-가정 양립 등 효과에 대해 기대하면서도 단기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영난·인력난 심화, 근로자의 소득감소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