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전순옥 의원, 중소상공인 재창업 지원 추진

전순옥 의원, 중소상공인 재창업 지원 추진

등록 2015.08.17 11:32

문혜원

  기자

공유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전순옥 의원실 제공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사진=전순옥 의원실 제공


중소상공인의 재창업을 지원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전순옥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7일 중소상공인이 재창업을 할 때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금융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뿐 아니라 재창업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전 의원이 통계청의 ‘연도별 기업 생존율(2012년 기준)’을 공개한 데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은 기업 설립 후 1년 동안 약 60%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2년 생존율은 46%, 3년 생존율은 38%, 5년 생존율은 30% 수준으로, 창업 후 1년도 안 돼 40%가 폐업하고 3년이 지나면 60%가 폐업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현재 재창업 교육·재창업지원 시설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폐업 후 다시 창업을 하면 5개 중 1개가 문을 닫을 정도로 재창업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게 전 의원의 지적이다.

이와 관련 전 의원은 “창업실패의 경험을 다시 창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정부의 ‘중소상공인 재도전 지원 전략’에 보완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전 의원이 창업진흥원 ‘기술창업 폐업 및 재창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공개한 데에 따르면 폐업의 주된 세부원인은 판매부진(49.3%)과 판매대금회수 지연(11.5%)으로 인한 자금난이다.

이에 대해 전 의원은 “현재 재창업 관련 자금지원은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자금 융자만 해줄 뿐 이에 대한 사전·후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재 구조조정 전문가나 창업컨설턴트, 재기에 성공한 기업인 등이 재창업지원 전문가로 활동 중이긴 해도 소규모 기업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중소상공인을 위한 재창업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650만 중소상공인들은 국민경제의 뿌리를 형성하는 계층이지만, 국내 대기업에 밀려 경쟁력을 상실하고 내수 경기침체로 회복을 못하고 있다”며 법안 통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개정안은 전 의원을 비롯해 같은 당 한명숙, 남인순, 김춘진, 이원욱, 민홍철, 오제세, 한정애, 전정희, 임수경, 심재권, 유은혜 등 12명의 의원들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