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는 3일 4·3 추념식에 박근혜 대통령이 불참한 것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4·3 사건을 재조명해야한다고 거리를 두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박 대통령의 불참에 쓴소리를 퍼부었다.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를 비롯해 정의당 천호선 대표 등 각 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제주 4·3평화공원에서 거행된 제67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나란히 참석했다. 4·3 추념식은 지난해부터 국가의례로 치러지고 있는 행사다.
추념식 후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용서와 화해, 상생으로 국가적 비극인 4·3을 승화시켜야 할 시점이 왔다”면서도 “(4·3 사건 재심사는) 진상조사위원회에서 할 일”이라고 말을 아꼈다.
박 대통령이 불참한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께서도 굉장히 오시고 싶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문 대표는 “4·3 희생자에 대한 추모는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아니다. 추념식이 우리 역사의 화해와 상생, 국민통합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도 “대통령께서 오늘 추념식에 참석을 하셨으면 화해와 상생, 국민통합이 더 살아나지 않았을 까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재임 5년 동안 한 번도 참석하지 않았는데 국가 추념일로 지정도 된 만큼 적어도 대통령께서 2년에 한 번 정도는 참석을 해주시는 게 좋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4·3 사건 재심사 요구와 관련해서는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의 노력에 의해 비로소 이뤄진 4·3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이명박 정부 이후 훼손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참으로 유감스럽다”고 답했다.
유승희 새정치연합 최고위원 역시 이날 성명서를 통해 “국가추념일로 지정된 4.3 위령제에 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이 불참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며 박 대통령의 4·3 추념식 불참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유 최고위원은 “4·3사건은 당시 제주도민의 10% 정도가 국가권력에 의해 학살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2003년 정부가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한 후 여야-진보보수를 떠나서 상생과 화해의 상징적인 의미에서 국가추념일로 지정된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후보 시절 ‘국가 추모기념일 지정을 비롯해 도민 아픔이 가실 때까지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약속까지 했던 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4.3 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한 제주도민들이 강력하게 요청했음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불참하는 것은 국민과의 약속 파기이며 제주도민을 우롱하는 행위”라며 “4·3 희생자 재심의를 요구하는 보수 우익단체와 제주도민의 갈등을 유발하고 서로 반목하게 만드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haewoni8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