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화이트데이 선물값, 밸런타인데이 2배 넘어

화이트데이 선물값, 밸런타인데이 2배 넘어

등록 2015.03.15 16:46

김은경

  기자

공유

화이트데이(3월 14일) 선물값이 한 달 앞선 밸런타인데이(2월 14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온라인쇼핑사이트 티몬에 따르면 올해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직전 13일의 소비자 구매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선물, 간식류 외식 부문 전체 매출은 화이트데이 시즌이 밸런타인데이보다 35% 정도 많았다.

인기 품목들의 평균 가격도 화이트데이 쪽이 뚜렷하게 더 높았다.

화이트데이 선물 부문 매출 상위 10위 제품의 평균 단가는 12만4780원으로 밸런타인데이(5만170원)의 두 배를 넘었다.

화이트데이 인기 제품은 ▲ 아쉬슈즈 ▲ 샤넬·프라다 지갑 ▲ 스페인 명품 브랜드 토스 주얼리(보석·장신구) ▲ 세인트스코트 시계 ▲ 코치 핸드백 등 대부분 10만원을 웃돌았다.

이에 비해 밸런타인데이에는 ▲ 금강제화 구두 ▲ 락포트 ▲ 카시오 시계 ▲ 블가리 향수 ▲ 신모아 남여공용 스니커즈 ▲ BRTC포어타이트닝 옴므세트(화장품) ▲ 타미필피거 니트 ▲ 나이키·아디다스 운동화 등 10만원 미만 제품군이 많았다.

외식 부문에서도 화이트데이에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이 잘 팔렸다.

화이트데이 시즌 매출 상위 외식 브랜드는 ▲ 토다이 ▲ 마키노차야 ▲ 성스뷔페 ▲ 프라임마리스·드마리스 ▲ 제스트 뷔페 ▲ 그랜드힐튼 호텔 뷔페 ▲ 리버사이드호텔 노벨로홀 뷔페 ▲ 임페리얼 팰리스 패밀리아 등의 순서로, 10위권의 평균 가격(1인당)이 3만9000원 정도였다.

이는 밸런타인데이 시즌 1~10위 외식 브랜드의 평균 단가(2만29000)보다 70%나 높은 수준이다.

다만 초콜릿·사탕·젤리 등 간식류의 경우 화이트데이 매출 10위권 상품의 평균가격(1만4400원)이 밸런타인데이(1만5335원)보다 다소 낮았다.

다른 인터넷 쇼핑사이트의 통계에서도 2~3월 ‘남성 지출 우위’를 짐작할 수 있다.

옥션이 화이트데이와 밸런타인데이 직전 12일동안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초콜릿·캔디·젤리 등 저가 상품 매출은 화이트데이 시즌에 밸런타인데이 시즌보다 6% 정도 줄었다.

반면 브랜드시계·향수·지갑 등 고가 상품의 매출은 화이트데이에 오히려 13% 정도 늘었다.

세부 상품군의 매출 증가율(밸런타인시즌 대비)은 ▲ 목걸이 30% ▲ 브랜드시계 27% ▲ 커플 링·목걸이 24% ▲ 팔찌·발찌 23% ▲ 꽃·케익 배달 12% ▲ 여행상품 7% ▲ 가방·패션잡화 5% 등으로 집계됐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