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생활물가 상승 광주 최고···교육비는 서울 가장 많이 올라

작년 생활물가 상승 광주 최고···교육비는 서울 가장 많이 올라

등록 2015.02.20 09:27

김은경

  기자

공유

지난해 전국 16개 시·도 중 광주지역이 생활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물가지수의 전체 도시 평균 상승률은 0.8%이었지만 광주는 1.3% 올라 16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과 인천이 각각 1.2%로 뒤를 이었다. 대구·충북·경남(1.0%)과 부산(0.9%)의 상승률이 높았고 울산(0.8), 전남(0.8%), 제주(0.8%)의 상승률은 전도시 평균과 같았다.

나머지 지역의 생활물가 상승률은 전도시 평균 미만이었으며 충남은 지난해보다 0.2%내려 16개 시도 중 유일하게 생활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생활물가지수에는 식료품, 생필품 등 생활과 밀접한 품목들이 포함된다.

지난해 공공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전도시 평균이 0.8%였고 16개 시도 중에서는 부산이 1.4%로 가장 높았다.

경남과 제주는 각각 1.3%의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충북(1.1%), 충남(1.1%), 전남(1.0%), 전북(1.0%)은 전도시 평균보다 높았고 서울(0.6%)의 공공서비스 요금 상승률은 전도시 평균보다 낮았다.

공공서비스 요금 상승률이 가장 낮은 곳은 대전으로 0.2%였다.

지난해 교육물가 상승률은 전도시가 1.5%였고 서울과 부산이 각각 2.0%로 가장 높았다.

서울과 부산 다음으로는 경남이 1.9%로 뒤를 이었으며 광주는 1.5%로 전도시 평균과 같았다. 나머지 지역은 평균 미만이었다. 교육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곳은 대전으로 0.4%였다.

지난해 집세 상승률은 전도시 평균이 2.3%였고 서울의 상승률이 2.8%로 가장 높았다. 집세에는 전세와 월세가 모두 포함됐다.

대구(2.5%), 인천(2.5%), 경기(2.5%), 충남(2.5%)의 집세 상승률은 평균보다 높았다. 대전은 2.0%를 기록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2% 미만이었다. 집세 상승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전북으로 0.8%였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