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대우인터·석유공사, 국내 대륙붕 가스전 평가시추

대우인터·석유공사, 국내 대륙붕 가스전 평가시추

등록 2014.10.20 11:39

강길홍

  기자

공유

대우인터·석유공사, 국내 대륙붕 가스전 평가시추 기사의 사진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석유공사는 국내 대륙붕 6-1 남부광구 내 위치한 고래 D 가스전 후보지역에서 오는 11월 말부터 평가시추를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대우인터에 따르면 이번에 평가시추를 결정한 고래 D 지역은 석유공사가 운영하는 동해-1 가스전으로부터 남서쪽으로 20㎞ 지점으로 지난 1993년 탐사시추를 통해 가스 존재가 확인된 곳이다.

대우인터내셔널은 2011년 민간기업 최초로 대륙붕 6-1 남부 광구의 지분 70%를 확보해 운영권자로서 운영을 맡고 있다. 석유공사는 30% 지분으로 사업에 참여중이다.

대우인터내셔널은 2012년 3차원 물리탐사를 실시해 고래 D 지역의 예상규모와 시추위치를 확정했다. 이번 평가시추를 통해 정확한 매장량을 확인한 후 가스전 개발 설계를 위한 제반 자료를 확보하고 내년 상반기 가스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고래 D 가스전의 천연가스 확보를 위해 별도의 플랫폼을 건설하지 않고 지난 4월 석유공사와 체결한 ‘동해-1 가스전 생산설비 공동사용’에 대한 협력의향서에 따라 석유공사가 보유한 동해-1 가스전 해상 플랫폼 등 생산설비를 사용할 방침이다.

동해-1 가스전은 매장량 1862억입방피트(ft3)의 천연가스층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4년 7월부터 하루 평균 천연가스 5000만ft3, 초경질 원유는 1000배럴을 생산해 현재까지 생산 공급한 천연가스는 약 1500억ft3다. 초경질 원유의 경우 약 300만 배럴이다.

특히 대우인터내셔널은 이번에 시추하는 고래 D 가스전 외에도 6-1 남부광구 내 다수의 새로운 유망구조를 발견했다.

양수영 대우인터내셔널 자원개발부문장은 “6-1 남부광구에 대한 정밀 분석 결과 가스전 개발이 거의 확실시 되는 고래 D 지역 외에도 유망구조가 다수 발견됐다”며 “향후 동해 남부 해상에서 추가 가스전이 개발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인터내셔널이 운영권을 보유 중인 미얀마 해상의 3개 가스전은 2000년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된 유전 및 가스전 중 최대 규모로서 지난 2013년 6월부터 생산이 시작됐다. 현재 하루 약 4억ft3 규모로 중국과 미얀마에 공급되고 있다.

강길홍 기자 slize@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