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제2롯데월드’ 보완대책 제출···조기개장 안갯속

‘제2롯데월드’ 보완대책 제출···조기개장 안갯속

등록 2014.08.14 12:10

성동규

  기자

공유

서울시·롯데 교통문제 이견 여전안전문제 제자리 걸음, 시민불안 고조

2롯데월드 전경. 사진=김동민 기자 life@2롯데월드 전경. 사진=김동민 기자 life@


롯데그룹이 13일 서울시에 제2롯데월드 저층부 3개 동 임시사용 승인과 관련한 교통·안전 보완대책을 제출한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롯데 측은 추석 대목에 맞춰 개장을 서두르고 있으나 이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먼저 롯데 측은 서울시의 82개 지적사항 중 올림픽대로 하부도로 잠실주공5단지∼장미아파트 뒷길 1.12㎞ 미연결구간 공사를 결국 해결하지 못했다.

이번에 제출한 보완대책에는 롯데 측이 비용을 부담하되 주민 민원사항은 저층부 3개 동의 임시사용 승인과는 별개로 해법을 모색하자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1.12㎞ 구간 중 지하구간 520m를 포함해 전 구간 공사비를 롯데 측이 부담하거나 롯데가 직접 시공해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되 서울시가 요구한 전 구간 지하화는 추후 논의하자는 것이다.

해당 구간 공사는 서울시의 광역교통체계 개선 사업의 하나로 기본계획 수립 당시 48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계산됐다. 하지만 정밀 실시설계 결과 주변 아파트 방음벽 건설 비용 등이 추가돼 약 680억원으로 증액됐다.

롯데 측은 서울시의 증액 요구를 받아들여 680억원을 부담하기로 했으나 인근 주민이 새 도로가 생기면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등으로 활용하던 공간이 사라지고 교통량이 많아져 불편을 겪게 된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서울시는 이에 1.12㎞ 전 구간을 지하화할 것을 요구했고 롯데 측은 난색을 보이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교통문제 해결이 사실상 조기개장의 선결 과제인 상황에서 서울시가 이 같은 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더욱이 교통문제가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자 안전성 논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추세다. 교통난은 여러 문제 중 하나일뿐이고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용역 결과는 아직 나오지도 않은 상태다. 영국 구조설계 컨설팅 전문업체인 아룹과 한국지반공학회에 지반침하와 관련해 롯데가 발주한 용역 결과는 10~12월에나 나올 예정이다.

최근 석촌호수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고 일대에 싱크홀이 발생하자 지난달 10일 외부용역을 발주했다. 앞서 송파구도 이미 같은 내용의 연구용역을 발주한 바 있다. 싱크홀과 제2롯데월드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약 1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롯데 측은 싱크홀 발생과 관련해 ‘롯데월드타워 홍보단’이라는 블로거들을 동원해 ‘롯데와 전혀 상관없다’는 내용의 글을 올리게 한 사실이 드러나 빈축을 사기도 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