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동양사태 배상 제각각 이유는?···나이, 투자방법에 따라 산정 달리해

동양사태 배상 제각각 이유는?···나이, 투자방법에 따라 산정 달리해

등록 2014.07.31 16:38

수정 2014.07.31 16:39

최재영

  기자

공유

표= 금융감독원표= 금융감독원


동양그룹 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한 피해자들은 각각 15~50% 배상받는다.

배상은 동양증권이 동양그룹 계열사가 발생한 기업어음(CP), 회사채, 등을 판매하면 일반 투자자에게 투자상품을 권유하거나 충분하게 설명하지 않아 불완전판매가 인정됐을 경우다.

금감원 분쟁조정위는 “기존 불완전판매와 관련해 법원판례와 분쟁조정사례 등 형평성을 고려했다”며 “불완전판매 유형인 적합성, 설명의무 위반과 부당권유 등과 중복위반 등에 따라 기본배상비율을 20~40% 차등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법원판례는 위반행위정도와 투자자의 투자경험, 지식, 직업, 연령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배상비율을 20~50% 범위에서 인정하고 있다.

분쟁조정은 파워인컴펀드, 저축은행 후순위채, 팬오션 회사채 등의 사례를 토대로 20~50% 정도의 배상비율을 인정하고 있다.

여기에 CP와 전자단기사채는 회사채와 달라서 증권신고서 공시 없이 발행돼 투자피해자 투자정보(상품특성, 발행사 위험 성 등) 확인이 쉽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해 배상비율을 5% 포인트 가산했다.

또 투자자 나이에 따라 5~10% 포인트 올렸다. 분쟁위는 50대 이상은 5% 포인트, 80대는 10% 포인트 가산했다.

그림= 금융감독원그림= 금융감독원


금융투자가 자기책임원칙이라는 점을 내세워 투자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2~10% 포인트 차감됐다. 또 투자금액에 따라 5~10% 포인트 줄였다.

손해액 산정은 투자금액에서 투자자가 이미 변제를 받았거나 기업회생절차를 통해 발행사로부터 수령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은 제외됐다. 확정한 손해액에 불완전판매 배상비율을 곱해 배상액을 산정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