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국형 IB’ 5개 증권社, 지급보증 한도 16조로 늘어난다

‘한국형 IB’ 5개 증권社, 지급보증 한도 16조로 늘어난다

등록 2014.07.04 08:21

박지은

  기자

공유

자기자본 3조원 이상으로 한국형 투자은행(IB)에 지정된 5대 증권사들의 지급보증 및 대출사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지급보증 한도액이 늘어나면서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다음주 ‘금융규제 합리화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책에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는 자기자본의 100% 범위 내에서 지급보증 사업을 벌일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는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KDB대우증권, 현대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이다.

지금은 개인과 기업을 포함한 전체 신용공여한도를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 중 지급보증만 따로 떼어내 자기자본의 100% 범위 내에서 별도 운영토록 한다는 것이다.

기업대출, 개인대출 등 지급보증을 제외한 나머지 신용공여 사업 역시 자기자본 100% 이내에서 운영하면 된다.

즉 5대 증권사의 자기자본총계액인 16조8297억원만큼 신용공여 여력이 늘어나는 셈이다.

금융위가 지급보증 관련 규제를 완화해준 것은 대형 증권사들이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부동산 관련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위험성이 큰 사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증권사는 예금수신 기능이 없기 때문에 직접 대출보다는 지급보증 형태로 외부자금을 끌어들이는 비중이 큰 점을 감안했다.

이와 더불어 금융위는 또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주식·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자산)펀드의 인가 및 운용 규제를 통합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오피스 빌딩 등 일반 부동산 투자와 이 시설에 입주해 있는 영화관 등 특별자산 투자를 동시에 진행하려면 관련 규제를 통합해야 한다는 업계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금융위는 아울러 금융투자업 관련 인·허가 규제도 시장 활성화 및 업계의 요구 등을 반영해 합리화하기로 했다.

박지은 기자 pje88@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