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은 “물가상승시 저소득·고령층 물가부담 높다”

한은 “물가상승시 저소득·고령층 물가부담 높다”

등록 2014.04.13 16:39

최은서

  기자

공유

물가 상승기엔 저소득층과 고령층의 물가 부담이 다른 계층보다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형식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13일 ‘소득 및 연령 그룹별 물가상승률 차이에 대한 분석’ 보고서에서 ‘가구균등 물가지수’(D-CPI)를 산정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대상 8000 가구의 392개 지출품목을 분석하면서 개별 가구의 품목 지출 비중을 단순평균한 값을 가중치로 사용해 D-CPI를 산출했다.

소득 하위 50%인 저소득 가구, 그리고 가구주가 60~70대인 고령가구의 가구균등 물가지수 상승률은 공식 CPI(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에 비해 2011~2012년 기간 중 각각 연평균 0.3%포인트 및 0.7%포인트 가량 높았다.

또 가구주 연령대별 물가상승률은 2011년 이후 0.7~2.9%포인트까지 차이를 보였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2011년 물가 상승기에는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한 품목이 주로 석유류, 농축산물, 집세, 전기·수도·가스 등이었다.

소득 하위 50% 가구 및 60~70대 가구주 그룹의 지출 비중이 큰 품목이어서 물가 부담이 더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고 김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저소득층 소비 비중이 큰 품목들의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설 때 이들 계층의 물가 부담이 더 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은서 기자 spring@

관련태그

뉴스웨이 최은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