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용산개발·창동기지···與 서울시장 TV토론 정책 공방 치열

용산개발·창동기지···與 서울시장 TV토론 정책 공방 치열

등록 2014.04.09 17:10

이창희

  기자

공유

자기 공약 어필 후 상대 공약엔 날카로운 지적 공세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 예비후보들. (왼쪽부터) 이혜훈·김황식·정몽준 후보. 사진=정몽준 의원실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 예비후보들. (왼쪽부터) 이혜훈·김황식·정몽준 후보. 사진=정몽준 의원실


6·4지방선거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에 나서는 김황식·이혜훈·정몽준 예비후보가 한 자리에 모여 저마다 자신의 강점을 내세우면서 상대방의 정책을 비판하는 등 날카로운 설전을 주고 받았다.

9일 여의도 MBC에서 열린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첫 TV토론에서는 주도권을 둘러싼 세 후보들 간의 치열한 다툼이 눈길을 끌었다.

정 후보는 용산과 창동 지역 등 개발 이슈를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용산사업의 단계적 추진과 창동 차량기지 공항터미널·복합단지 조성, ‘북한산 벨트’ 관광특구 개발 등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중 벤처단지 조성과 창동 차량기지 공약에 대해 이 후보는 각각 “리모델링을 못해서 제대로 활용을 하는 것이 먼저 우선순위”, “창동기지는 2012년 국가 사업으로 이미 확정됐다”고 일침을 가했다.

김 후보도 “유휴부지를 잘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는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유휴부지의 비효율적인 활용의 원인과 방안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정 후보는 “주변 땅값이 올라서 특혜라고 생각을 하는데 저는 공공성과 공익성을 기준으로 하고 부족한 것을 보충해 가능한한 많이 허가를 내줄 생각”이라고 답했다.

김 후보는 세출입 구조 개편과 비강남권 상업지역 대폭 확대, 시청-강남권 10분대 연결 등을 통한 강남북 균형발전을 천명했다.

그는 “서울은 자치구간에 재정격차, 교육, 주거, 문화 시설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박원순 시장의 노력은 별반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시청-강남 지하철과 GTX의 노선은 거의 같다”며 “수조원의 예산을 강남의 시간 단축을 위해 쓰기보다는 대중교통망이 부족한 강북에 써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 후보는 “GTX는 수서에서 서울역을 거쳐 삼성으로 빠지는 노선으로 그 중간에는 전혀 정류장이 없다”며 “신사-이태원-회현을 거쳐 시청으로 가는 노선을 중복이라고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맞받았다.

이 후보는 ‘도심 재창조’를 자신의 주요 공약으로 발표했다. 그는 세운상가 철거 후 ‘한류메카’ 조성, 16개 지역에 분산돼 있는 산하 시설들의 통합을 통한 복합행정타운 조성 등을 약속했다.

여기에도 나머지 후보들의 공세가 이어졌다. 김 후보는 “세운상가는 문화와 역사, 경제적으로 상당히 활용가치가 크다”며 “독특한 산업 생태계가 조성돼 있는 곳을 다 쓸어 버리고 녹지공간으로 활용하기는 아까운 것 아닌가”라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정 후보도 “임대주택 10만호 건설을 얘기했는데 이는 역대 서울시 기록을 완전히 깨는 것”이라고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이 후보는 “공공기관이 조합원의 자격을 갖게 되면 거기에서 한 17% 정도의 임대주택을 건설할 땅이 발생해 3만5000호가 가능하고 공공임대주택에서 소형주택을 확대하는 경우에 인센티브를 주는 식으로 하면 4만호가 나온다”고 반박했다.

이창희 기자 allnewguy@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