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SKT ‘무제한 요금’ 통신株에 ‘호재’

SKT ‘무제한 요금’ 통신株에 ‘호재’

등록 2013.03.22 15:26

박지은

  기자

공유

SK텔레콤이 망내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주가가 크게 떨어지고 있다.

22일 증시 전문가들은 SK텔레콤의 이번 무제한 요금제가 단기적으로 마케팅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 고객 유출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업종 내 선두주자인 SK텔레콤이 무제한 요금제로 바뀐 마케팅 전략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망내 무제한 요금 출시 이틀째인 이날 SK텔레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3500원(1.94%) 떨어진 17만6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같은 날 KT도 900원(2.52%) 떨어진 3만4850원에, LG유플러스도 340원(4.02%) 떨어진 8120원에 거래됐다.

IBK투자증권 김장원 연구원은 “사실상 지금까지의 마케팅 전략은 보조금 지급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며 “그러나 이번 SK텔레콤의 가입자끼리 무제한 요금제는 기존의 마케팅 전략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대안이다”고 설명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방송통신위원회 등이 이동통신업체 보조금 억제 전략을 펴면서 새로운 방안이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또 정부가 통신 요금 인하에 대해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점도 이번 무제한 요금제라는 초강수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SK텔레콤의 가입자는 전체 이동통신가입자의 50%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런 환경 속에서 무제한 요금제는 다른 통신사로의 가입자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그에 따르면 SK텔레콤의 매출액 중 무제한 요금제 출시로 손실을 보는 금액은 1200억원에 불과하다. 가입자당 평균 24만원에 달했던 보조금 지급 비용에 비하면 그리 크지 않은 손실이다. 실제 SK텔레콤의 경우 지난해 보조금 지급으로 총 2조1000억원의 비용을 지출했다.

신한금융투자 성준원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KT와 LG유플러스의 마케팅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고객유출을 막아 마케팅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성 연구원은 “향후 2분기까지는 KT와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에 대항하기 위한 공격적 마케팅 비용을 집행 할 수 있다”며 “그러나 방통위가 보조금 지급 정책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만큼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진 않은 것이다”고 예상했다.
박지은 기자 pje88@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