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용산개발 정상화 “서부 이촌동 주민손에 달렸다”

용산개발 정상화 “서부 이촌동 주민손에 달렸다”

등록 2013.03.21 14:58

수정 2013.03.21 15:18

남민정

  기자

공유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지속 여부가 사업부지에 포함된 서부 이촌동 6개 구역 주민 재투표 결과에 달렸다. 주민 50%이상이 반대하면 사실상 사업은 무산된다.

2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용산사업에 포함된 서부 이촌동을 6개 구역으로 나눠 6월 말까지 개발여부를 결정하는 주민 투표를 실시한다.

서부 이촌동 부지는 총 사업부지 51만㎡ 중 6만㎡에 해당, 부지 비율이 12.2%에 이른다. 개발 사업은 변경 부지 비율 5% 미만까지 사업 계획서를 바꾸지 않고 추진이 가능하다.

개발사업 부지에 포함된 서부 이촌동은 ▲대림아파트 638가구 ▲성원아파트 340가구 ▲동원베네스트아파트 103가구 ▲중산아파트 266가구 ▲시범아파트 228가구 ▲단독·연립·다세대주택 604가구 등으로 구성됐다.

지난 2011년 서부 이촌동 주민 조사 결과 전체 찬성률은 56%로 집계됐지만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이 많았던 대림과 성원아파트 찬성률은 각각 39.6%와 32.4%에 불과했다.

반면 동원아파트와 연립·단독주택 주민은 통합개발에 찬성하는 입장이 많았다. 땅 소유자에 한해 주민 동의를 받도록 한 도시개발법에 따라 중산과 시범아파트 주민들은 찬반 의견을 내지 못했다.

주민 재투표에 대해 한 지역 주민은 “사업이 6년 넘게 지지부진한데다 최근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놓여 찬성률이 이전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코레일이 사업을 공영개발로 전환하면 주민에게 돌아오는 추가 보상이 줄어들 수도 있어 반대의사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레일은 2∼3개 구역의 반대로 변경 부지 비율이 5% 미만에 그치면 사업계획 변경 없이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남민정 기자 minjeongn@

뉴스웨이 남민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