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용산개발 디폴트 피해건설사 어디?

용산개발 디폴트 피해건설사 어디?

등록 2013.03.14 18:58

수정 2013.03.14 19:01

남민정

  기자

공유

삼성물산 1500억원 넘어 최대 손해
포스코건설 등 12개 참여업체도 손실
최종 부도땐 수천억원 공중에 날릴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디폴트에 빠지면서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31조원이라는 대규모 사업이 사실상 부도위기에 처하면서 시행사 드림허브에 총 2000억원 가량 투자한 건설사들의 피해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드림허브에 주주로 참여한 건설사중 삼성물산이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해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삼성물산은 초고층빌딩 시공사로 선정되며 CB(전환사채)발행에 투자한 금액 780억원과 공사비 130억원, 보유 지분 6.4%에 해당하는 투자금 640억원 등 총 1550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다른 출자 건설사들도 피해를 입기는 마찬가지다. 보유 지분율에 따라 ▲GS건설 200억원 ▲현대산업개발 200억원 ▲금호산업 200억원 ▲포스코건설 120억원 ▲롯데건설 120억원 ▲SK건설 120억원 ▲한양 100억원 ▲태영건설 60억원 ▲두산건설 40억원 ▲남광토건 40억원 ▲반도건설 40억원 ▲유진기업 40억원 등 피해가 예상된다.

이들 건설사들이 투자한 금액은 드림허브 지분 전체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개발 사업이 최종 부도로 확정되면 투자금은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남민정 기자 minjeongn@

뉴스웨이 남민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