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화학
SK온, 美 ESS 시장 진출···현지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SK온이 미국 플랫아이언과 1GWh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현지 생산되는 LFP 배터리를 적용한 컨테이너형 ESS를 2026년부터 공급하며, 2030년까지 총 7.2GWh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차별화된 모듈 설계와 안전성을 기반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총 374건 검색]
상세검색
에너지·화학
SK온, 美 ESS 시장 진출···현지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SK온이 미국 플랫아이언과 1GWh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북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현지 생산되는 LFP 배터리를 적용한 컨테이너형 ESS를 2026년부터 공급하며, 2030년까지 총 7.2GWh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차별화된 모듈 설계와 안전성을 기반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에너지·화학
SKIET, 2년 이상 근속 국내 직원 무급휴직 실시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국내 구성원 대상으로 무급휴직 제도를 실시한다.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전기차 케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을 위한 자구책의 일환이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이날 오후 구성원 대상 타운홀미팅을 열고 무급휴직 방안에 대해 공지했다. 대상자는 서울 본사, 대전 R&D센터, 충북 증평 공장에 재직 중인 근속 2년 이상 구성원이다. 기간은 최소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6개월 단위로 신청이 가능하
에너지·화학
SK온·포드 합작법인 블루오벌SK, 첫 상업생산 개시
SK온과 포드가 공동으로 설립한 합작법인 블루오벌SK가 미국 켄터키주 글렌데일 1공장에서 전기차 배터리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본 공장은 포드 F-150 라이트닝과 E-트랜짓 등에 탑재할 배터리를 생산하며, 이를 통해 SK온은 북미 내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포드 역시 현지 조달로 전동화 전략을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화학
전기차 캐즘 여파에···배터리 3사 가동률 50%로 '뚝'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수요 둔화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공장 가동률이 40~50%대로 하락했다. 수익 악화와 설비 축소에도 불구하고, 각사는 연구개발 비용 투자를 늘리며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에너지·화학
ESS 1차 입찰 삼성SDI 압승···2차 수주전 초읽기
정부가 발주한 2025년 ESS 입찰에서 삼성SDI가 전체 물량 중 약 80%를 수주해 경쟁사들을 압도했다.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국내 생산 역량이 비가격 평가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2차 입찰에서도 국내생산 비율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에너지·화학
"배터리 살려라"···SK, SK온에 5조 쏟고 또 2조 유증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경영 정상화 및 성장성 강화를 위해 최근 3년간 7조48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자본 확충에 나섰다. SK온과 SK엔무브,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 계열사 합병 및 투자로 수익성, 재무안정성,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 중이다.
에너지·화학
"美 진출 없인 답 없다"···K배터리, 'ESS'로 하반기 생존법 모색
국내 배터리 3사가 명암이 뚜렷한 2분기 성적표를 공개했다. 북미 생산을 통한 AMPC(고급 제조 세액공제) 수혜가 이번 실적의 분수령으로 작용한 가운데, 보조금에 대한 집착이 하반기 더욱 과열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3사는 ESS 사업 확대를 하반기 주요 전략으로 삼아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AMPC 극대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기업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올해 2분기 엇갈린 실적
에너지·화학
SK온, 배터리연구원 명칭 미래기술원으로 변경
SK온이 기존 'SK온 배터리연구원'의 명칭을 'SK온 미래기술원'으로 변경했다. SK온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밝히며 '기술 주도 성장' 경영 기조에 맞춰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고 미래 기술 확보에 시동을 걸었다고 전했다. SK온은 차세대 기술을 신속히 확보해 미래 성장을 위한 결정적 모멘텀을 마련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박기수 초대 SK온 미래기술원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 환경 변화도 빨라지고 있다"
에너지·화학
"역대급 美 AMPC"···SK온, 'ESS·켄터키 공장'으로 하반기 정조준(종합)
SK온이 북미와 유럽 고객사 수요 회복에 힘입어 올해 2분기 긍정적인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북미 판매량이 대폭 늘면서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또한 역대 최대로 수령하게 됐다. 하반기에는 관세·보조금 변수라는 험로가 예고되지만, SK온은 ESS 신사업·SK엔무브 흡수합병·켄터키 공장 가동 등으로 대응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31일 SK온에 따르면 회사는 올해 2분기 매출 2조1077억원, 영업손실 66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 분기 대
에너지·화학
'AMPC 역대 최대'···SK온, 합병 후 첫 흑자전환
SK온이 올해 2분기 역대 최대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2734억원을 수령하며, 합병 이후 첫 분기 흑자 609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미국·유럽 공장 가동률 개선과 판매량 증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효과에 힘입은 결과다. 하반기 시장 불확실성에도 유럽 수요 확대에 대응해 수익성 방어에 주력할 방침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