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 서울 25℃

  • 인천 25℃

  • 백령 14℃

  • 춘천 26℃

  • 강릉 26℃

  • 청주 27℃

  • 수원 26℃

  • 안동 28℃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27℃

  • 전주 28℃

  • 광주 27℃

  • 목포 23℃

  • 여수 21℃

  • 대구 29℃

  • 울산 25℃

  • 창원 24℃

  • 부산 23℃

  • 제주 19℃

농심 검색결과

[총 378건 검색]

상세검색

장수 브랜드의 귀환···농심, 라면·스낵 '명가' 굳힌다

식음료

장수 브랜드의 귀환···농심, 라면·스낵 '명가' 굳힌다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농심이 장수 브랜드 재출시 및 후속 제품을 내놓고 재도약에 나선다. 앞서 농심은 신라면·새우깡 브랜드를 활용한 신제품으로 흥행을 맞본 바 있다. 농심은 이 같은 전략을 토대로 국내외 시장에서 라면·스낵 기업의 위상을 다져나간다는 계획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농심라면' 출시 3개월 만에 1000만봉 이상 판매했다. 농심라면은 1975년 출시된 제품으로, 1978년 기업 사명(社名)을 바꾸는 계기가 될 정도로 인기였다.

농심 이어 오뚜기도 라면값 인상···내달 평균 7.5%↑

식음료

농심 이어 오뚜기도 라면값 인상···내달 평균 7.5%↑

오뚜기가 다음 달 1일부터 라면 가격을 인상한다.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오뚜기는 27개의 라면 16개 제품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한다고 20일 밝혔다. 대형마트 판매가 기준 진라면이 716원에서 790원, 오동통면이 800원에서 836원, 짜슐랭이 976원에서 1056원, 진라면 용기는 1100원에서 1200원으로 오른다. 진라면 10.3%, 오동통면 4.5%, 짜슐랭 8.2%, 진라면 용기가 9.1% 인상된다. 오뚜기는 이번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주요 채널에서

농심 소액주주 "기업가치 제고 계획 연내 공표 요청"

종목

농심 소액주주 "기업가치 제고 계획 연내 공표 요청"

농심의 소액주주 중 하나인 '언로킹 밸류'가 농심에게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연내 공표할 것을 요청하는 공개서한을 발송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농심의 소액주주 '언로킹 밸류'는 농심에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표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언로킹 밸류는 공개서한에서 "지난 1월22일 첫 번째 공개서한 이후 농심이 일부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과제인 수익성 개선을 명확하게 다루

농심, 라면·스낵 가격 인상에 실적 개선···증권가 "저점 매수"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농심, 라면·스낵 가격 인상에 실적 개선···증권가 "저점 매수"

농심이 2년 6개월 만에 라면·스낵 제품 가격을 인상하며, 증권가는 이로 인한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신제품 출시와 해외 확장 가능성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2분기부터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현재 주가는 저점으로 판단되며, 매수가 권장된다.

삼양에 밀린 라면 맏형 농심, '유럽 공략' 승부수

식음료

삼양에 밀린 라면 맏형 농심, '유럽 공략' 승부수

국내 라면업계 1위 농심이 유럽법인을 세우고 공격적인 해외 공략에 나선다. 농심은 오는 2030년까지 유럽 시장 매출을 기존의 4배 수준으로 올리고, 나아가 수익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농심은 매출 3조원을 올리고도 삼양식품 영업이익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오는 3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법인인 '농심 유럽'을 설립하고, 유럽시장 공략을 위한 비즈니스 거점을 구축한다. 네덜란드는 유럽 물동량 1위 항

농심, 작년 영업익 1631억원···전년비 23.1%↓

식음료

농심, 작년 영업익 1631억원···전년비 23.1%↓

농심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631억원으로 전년 대비 23.1% 감소했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4387억원으로 0.8%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1576억원으로 8.1% 줄었다. 농심 관계자는 "내수시장 소비 둔화로 인한 판촉비 부담 확대 및 환율 상승에 따른 재료비 증가 등으로 원가 부담이 증가해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선 못 먹는 '해외 판매용 한국 간식 10가지'

기획연재

[인포그래픽 뉴스]국내에선 못 먹는 '해외 판매용 한국 간식 10가지'

해외 진출 시에 현지 입맛에 맞게 새로 개발된 한국 간식들,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오리온 초코파이 = 살구 맛 (러시아) ◇ 빙그레 메로나 = 피스타치오 맛 (북미) ◇ 오리온 초코송이 = 블랙커런트 맛 (몽골) ◇ 비비고 만두 = 치킨&고수 맛 (미국) ◇ 롯데칠성음료 밀키스 = 레몬 맛 (러시아) ◇ 농심 신라면 = 똠얌 맛 (태국) ◇ 오리온 카스타드 = 꼼 맛 (베트남) ◇ 빙그레 바나나 우유 = 타로 맛 (필리핀 등 동남아) ◇ 오리온 꼬북칩 = 마살라 맛 (인도) ◇ 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