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8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88조원···역대 두번째 규모
8월 말 기준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88조3천억원을 기록해 역대 두 번째 규모를 보였다. 법인세와 소득세 등 세수는 증가했지만, 총지출이 더 크게 늘면서 적자 폭이 전년 대비 확대됐다. 국가채무도 1,260조9천억원에 달하며 재정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총 44건 검색]
상세검색
일반
8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88조원···역대 두번째 규모
8월 말 기준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88조3천억원을 기록해 역대 두 번째 규모를 보였다. 법인세와 소득세 등 세수는 증가했지만, 총지출이 더 크게 늘면서 적자 폭이 전년 대비 확대됐다. 국가채무도 1,260조9천억원에 달하며 재정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일반
IMF "2029년 전세계 국가채무 비율, 100% 돌파"···1948년 이후 최고
IMF는 글로벌 금리 상승과 재정지출 확대로 2029년 전 세계 국가채무 비율이 GDP 대비 100%를 돌파할 것이라 전망했다. 미국의 부채비율은 1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며, 각국의 재정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도 채무비율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일반
李정부, 내년 782조 예산 편성···AI·R&D에 집중 배정
내년도 중앙정부 예산안이 총지출 720조원 규모로 편성됐다. 이번 예산안은 올해보다 8% 증가한 규모로, 이재명 정부의 첫 본예산이다. 전임 윤석열 정부의 2~3%대 '긴축재정'에 마침표를 찍고 '확장재정'으로 돌아섰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를 열고 '2026년 예산안'을 의결했다. 예산안은 9월 초 국회에 제출되면 각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위의 감액·증액 심사를 거쳐 오는 12월 확정된다. 우선 총지출은 54조7000억원 늘어난 728조원
일반
국가채무 1109조···지난해 11월까지 나라살림 64조 적자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가채무가 전달보다 4조원 늘며 1110조원에 육박했다.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전달보다 악화한 64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1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 말까지 정부 총수입은 52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세·세외수입 감소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2조4000억원 줄어들었다. 이중 국세 수입은 324조2000억원으로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 등을 중심으로 49조4000억원 줄
[2023예산안]나라살림 적자 5.1→2.6%···국가채무비율 49.8%
정부가 건전재정 기조로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올해(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내년 국가채무 증가 폭은 4년 만에 100조원 아래로 내려간다. 2023∼2026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2%대 중반을 유지하고 국가채무비율도 50%대 초반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30일 발표한 2023년도 예산안에서 내년 국세수입을 비롯한 총수입이 625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본예산보다 13.1%, 2차 추가
[뉴스웨이TV]추경호 "재정준칙 법제화 추진···국가채무 60% 넘으면 적자폭 -2% 축소"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서 열린 재정준칙 콘퍼런스에서 모두발언을 했다.
2차추경 여파 나라살림 적자 71조원···국가채무 1019조원
올해 들어 5월 말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70조원을 넘어섰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집행되며 소상공인 손실보전 등 지출이 몰렸기 때문이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7월호'에 따르면 올해 1∼5월 누계 기준 관리재정수지는 71조2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다. 적자 규모는 작년 동기보다 22조7000억원 증가하며
국가채무 50% 중반서 통제···통합재정 대신 관리재정수지로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50% 중반대로 관리하기로 했다.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당장 내년부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고, 재정준칙도 통합재정수지보다 엄격한 관리재정수지 기준으로 변경한다. 정부는 7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2027년까지 50% 중반대에 묶어두기로 했다. 올해 연말 기준 49.7%(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로
[카드뉴스]집집마다 난리 난 상황···'K부채' 얼마나 심각한가
빚은 남에게 빌려 쓴 돈으로, 결국 다시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재화인데요. 나랏빚이 말이 아닙니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6월 27일 기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순채무를 합친 국가채무는 총 1,039조 원. 이를 4월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인 5,159만 3,000명으로 나누면 국민 1인당 국가채무는 무려 2,013만 8,530원입니다. 이 1인당 채무 증가 속도도 점점 빨라지고 있지요. 1997년 외환위기 당시만 해도 1인당 국가채무는 131만 원에 불과했는데요. 2014년에 1,039만
[재정건전성 논란]나라빚 사상 첫 1000조 넘어···재정준칙 시급
올해 4월 말 기준 국가채무가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했다. 국가채무가 갈수록 치솟는 상황에서 재정준칙 법제화 등을 통한 재정 정상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6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001조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3월 말(981조9000억원)보다 19조1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국가채무는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서게 됐다. 국가채무는 중앙정부 채무와 지방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