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정보 유출' 2만명 넘었다···"금전적 피해 없게 할 것" KT는 최근 소액결제 피해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을 추가로 확인해 피해 고객이 362명, 유출 대상이 2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복제폰 가능성을 일축하며, 전수 조사와 보호조치, 유심 교체 및 보상책을 적극 시행 중이다.
고개 숙인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무조건 보상, 필요하다면 사임할 것"(일문일답)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최근 해킹 사고에 대해 전액 보상 및 사내 인적 쇄신을 약속하며, 필요시 대표직 사임도 각오한다고 밝혔다. 롯데카드는 고객 피해를 전가하지 않고 무이자 할부, 해외 결제 차단 등 보호 조치를 시행한다. 보안 강화 및 인력·예산 확대 방침도 발표했다.
"약관상 가능"vs"AI에 무단 학습 그만"···네이버-지상파 3사 소송전 네이버와 지상파 3사(KBS·MBC·SBS)가 생성형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뉴스 콘텐츠 활용을 두고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첫 변론을 치렀다. 양측은 뉴스 이용약관 내 AI 활용 범위와 데이터 출처 공개 여부를 놓고 대립했다. 이번 사안은 국내 첫 AI 뉴스 저작권 법정 분쟁이다.
금융위 "롯데카드 해킹, 원인규명에 따라 일벌백계···징벌적 과징금 도입" 롯데카드에서 대규모 해킹 사고로 약 296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면서 금융당국이 강도 높은 제재와 금융보안 제도개선에 나섰다. 정부는 실질적 피해 예방 조치와 더불어 전 금융권 전산 보안 점검, 징벌적 과징금 도입 등 근본적 대책을 즉시 추진하고 있다.
주방가전 뛰어든 풀무원, '제2의 성장' 시험대 풀무원이 주방가전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인덕션, 에어프라이어, 소형 김치냉장고 등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 식품과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오프라인 유통채널도 확대 중이다. 최근 3년 연속 가전 매출이 연평균 32.9% 성장했으나, 시장 진입 장벽과 서비스 체계 등은 과제로 남아 있다.
마감시황 코스피 3461.3 마감···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 코스피가 역대 최고치인 3461.30으로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 지난 16일 기록한 직전 최고치 3449.62를 이틀 만에 다시 넘어섰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3413.40) 대비 1.40%(47.90포인트) 오른 3461.30에 마감했다. 이날 외국인은 2838억원, 기관은 4289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7798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삼성전자(+2.94%), SK하이닉스(+5.85%), LG에너지솔루션(+1.29%), 삼성바이오로직스(+0.88%), 삼성전자
롯데-HD현대 합작사 'HD대산그린에코' 출범 임박···석화 산업 재편 신호탄 롯데케미칼과 HD현대오일뱅크가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각각 50%씩 출자하는 대산 NCC 통합 합작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석유화학 구조조정 촉진과 공급과잉 대응 차원으로, 밸류체인 효율화와 친환경 사업 전환을 기대하게 한다. 고용 조정 및 노사 리스크도 불거지고 있다.
위기의 HLB, 사이언스 흡수합병 '승부수' HLB가 HLB사이언스를 흡수합병해 신약 개발의 어려움과 사업 포트폴리오 단일화 위기를 극복하려는 전략을 내놨다. FDA 승인 두 차례 실패와 HLB생명과학 합병 무산 등 악재 속에서, 펩타이드 기반 신약 등 파이프라인을 확장해 주주가치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노리고 있다.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만난 李대통령 "'국장 복귀는 지능 순'이란 말 생기도록 할 것"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만난 이재명 대통령이 국내 주식시장 부양 의지를 강조했다.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영권 한국애널리스트회 회장을 비롯해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상무,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상무, 조수홍 NH투자증권 상무, 김동원 KB증권 상무, 김혜은 모간스탠리증권 상무 등 투자업계 관계자 16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주식시장에 대해
'분양 후 지급' 관행에···건설사들 줄줄이 유동성 위기 심화 분양불 계약 관행이 공고해지며 미분양 아파트와 공사비 미수금이 급증하고, 건설사들이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도 영업 현금흐름이 적자로 전환됐고, 중견·중소 업체는 파산이나 법정관리로 내몰리고 있다. 분양 시장 침체가 악순환을 심화시키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