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한국은행, 내년 경제성장률 1.8% 전망···반도체 호조·내수 회복 '기대감'

금융 금융일반

한국은행, 내년 경제성장률 1.8% 전망···반도체 호조·내수 회복 '기대감'

등록 2025.11.27 13:54

박경보

  기자

올해 성장률 1.0%로 상향···수출·소비 회복 반영미국 관세·세계교역 둔화 등 대외 변수는 여전물가 상승률 2.1% 전망···환율·유가 리스크 지속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한국은행이 11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와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높여잡았다. 반도체 경기 호조와 내수 회복세가 성장 흐름을 지지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정책 영향 불확실성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소비자물가는 올해와 내년 모두 2.1%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1월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국내경제는 올해 1.0%, 내년 1.8% 성장률을 보이며 지난 8월 전망치(각각 0.9%, 1.6%)를 웃돌 전망이다. 하반기 들어 반도체 경기 호조와 내수 회복세가 예상보다 견조하게 이어졌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내년에는 소비 회복 지속과 건설 부진 완화로 내수가 성장세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는 고성능·범용 제품 수요 증가가 이어지면서 수출 둔화를 일부 상쇄할 것으로 판단했다.

물가 전망은 국제유가 하락이라는 하방요인에도 높은 환율 수준과 내수부진 완화,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 등이 반영됐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1%로 제시하며 지난 전망(2.0%) 대비 소폭 상향했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한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내년 물가는 2.1%, 2027년에는 2.0%로 전망했다.

세계경제는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합의 진전으로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가운데 각국의 확장적 정책 기조와 인공지능(AI) 투자 확대에 힘입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통화·재정 완화와 AI 인프라 투자를 바탕으로 2% 내외 성장을, 유로지역은 금융여건 완화와 국방비 증가 등에 힘입어 완만한 개선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미중 무역갈등 완화 등으로 성장률은 예상보다 높겠지만 내수 회복이 더디면서 점진적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은 미국 관세정책에 대해 '현 수준 유지'를 전망 전제에 반영했다. 대(對)한국 관세는 상호·자동차 15%, 철강 50% 등이 유지되며, 10월 말 관세 협상에서 중국산 일부 품목의 관세 인하, 복제의약품 관세 면제 등이 반영됐다. 반도체 관세 부과 시점은 내년 1분기에서 3분기로 미뤄졌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1150억달러, 내년 1300억달러로 지난 전망보다 높은 수준이 예상됐다. AI 및 일반 서버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가격 오름세, 국제유가 안정세 등으로 상품수지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평가했다. 취업자 수는 올해 18만명 증가, 내년 15만명 증가로 예상된다.

한은은 성장 경로의 리스크로 글로벌 통상환경, 반도체 경기, AI 투자 과열 여부, 국제금융시장 불안 등을 제시했다. 물가 리스크로는 환율과 국제유가 움직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을 지목했다.

기본 전망 대비 반도체 수출이 올해 두 자릿수 중반 증가세를 유지하는 낙관 시에는 내년 성장률이 +0.2%p, 2027년 +0.3%p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내년 하반기부터 반도체 수출 둔화가 발생하는 비관 시에는 내년 -0.1%p, 2027년 -0.3%p 낮아질 것으로 제시했다.

세계교역은 관세 시행 전 선수요 정상화와 관세 영향 지속으로 증가세 둔화가 전망됐으며, 국제유가는 주요 산유국 공급 확대로 단기 하락 후 내년 하반기 글로벌 수요 개선 단계에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내 여건에서는 소비자심리 개선, 재정 확대 등으로 양호한 흐름이 예상되지만 주택가격과 금융시장 변동성은 리스크 요인으로 제시됐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은 반도체 경기 호조와 관광객 증가 등이 반영돼 0.1%p 상향 조정됐다"며 "내년 성장률 상향은 건설경기 회복 지연에도 글로벌 반도체 경기 호조, APEC 이후 불확실성 완화, 관세 부과 시점 이연, 확장재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 경로에는 글로벌 통상환경, 반도체 경기 등과 관련한 상하방 불확실성이 크다"며 "물가는 환율과 유가 움직임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