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영풍 석포제련소 과징금 취소 항소심 20일 결심···쟁점은 '카드뮴 오염 인과관계'

산업 산업일반

영풍 석포제련소 과징금 취소 항소심 20일 결심···쟁점은 '카드뮴 오염 인과관계'

등록 2025.11.19 18:03

신지훈

  기자

영풍 석포제련소. 사진=독자 제공영풍 석포제련소. 사진=독자 제공

영풍이 석포제련소의 낙동강 카드뮴 오염과 관련해 환경부가 부과한 281억원 과징금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제기한 행정소송 항소심 결심이 20일 열릴 예정인 가운데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영풍이 석포제련소 카드뮴 오염 관련 281억원 과징금 취소 소송 항소심 결심이 20일 진행

법원 판단에 업계와 환경단체 등 관심 집중

배경은

2019~2021년 경북 봉화 석포제련소에서 카드뮴이 낙동강 등 공공수역으로 유출

환경부는 2021년 영풍에 281억원 과징금 부과

서울행정법원은 2023년 2월 카드뮴 유출 사실 인정, 과징금 부과 적법 판결

반박

영풍은 공장 구조상 카드뮴 유출 경로 성립 불가 주장

지하수 흐름, 다층 콘크리트 등 구조적 특성 강조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자체 점검 기록 등 오염 정황 충분, 개연성만으로도 과징금 정당 주장

숫자 읽기

2018~2019년 낙동강 하류에서 카드뮴 기준치 초과 검출

석포제련소 지하수 최대 3,326.5㎎/L 검출 (생활용수 기준의 33만2,650배)

하천 복류수 773.64㎎/L (하천수질기준의 15만4,728배)

낙동강 카드뮴 일일 유출량 약 22kg, 연간 8,030kg 추정

주목해야 할 것

법원 항소심 판결에 따라 영풍 과징금 부담 및 환경 규제 방향 결정될 전망

카드뮴 오염 관리 및 산업계 환경 책임 논의에 영향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3부(재판장 윤강열 부장판사)는 20일 영풍이 환경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과징금 부과처분 취소 행정소송 변론기일을 진행한다. 지난 8월 첫 변론 이후 3개월 만으로, 양측은 프레젠테이션을 포함한 구술 최후 변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021년 11월 환경부(현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9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인 카드뮴이 공공수역인 낙동강 등으로 유출됐다는 이유로 영풍에 과징금 약 281억원을 부과하는 제재조치 처분을 했다.

이에 영풍은 서울행정법원에 과징금 부과처분 취소 청구 소송을 냈으나 올해 2월 서울행정법원은 영풍의 청구를 기각했다. 당시 재판부는 "석포제련소에서 카드뮴이 낙동강으로 유출된 사실이 인정된다"며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과징금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다.

올해 2월 선고에서 서울행정법원 재판부는 "석포제련소 이중옹벽에서 누수 흔적이 확인됐고 하부 바닥에서 다수 균열이 발견됐으며, 석포제련소에서 카드뮴이 포함된 물이 낙동강으로 방류되고 있음을 기재한 영풍 내부 문건도 다수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석포제련소의 현황, 배수시스템, 주요 조사·단속 결과 등에 비춰 볼 때 2019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석포제련소 아연 제련 공정에서 이중옹벽, 배수로, 저류지, 공장 바닥을 통해 카드뮴이 지하수와 낙동강으로 유출됐다는 것이 서울행정법원의 판단이었다.

서울행정법원이 과징금 부과처분 취소 청구를 기각한 뒤 영풍은 서울고법에 항소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영풍은 기후에너지환경부가 특정한 1공장 바닥 균열과 2공장 침출수 배출관 경로가 구조적으로 성립하기 어렵다고 반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 바닥 아래 다층 콘크리트 구조와 차수층이 존재하는 점, 지하수 흐름이 폐수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방향이라는 점도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영풍이 과거 자체 점검을 하면서 촬영해 제출한 사진, 보고서, 시설점검 기록으로도 오염 정황이 충분하다는 주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또 직접 배출이 입증되지 않더라도 오염 사실의 개연성만으로 과징금 처분이 유지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18년 12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낙동강 하류 5km, 10km 지점의 국가수질측정망에서 하천수질기준 0.005㎎/L을 웃도는 카드뮴이 검출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이후 2019년 4월 대구지방환경청이 석포제련소 인근 낙동강 수질을 측정했고, 당시 환경부 중앙환경단속반이 특별단속도 실시했다. 특별단속 내용에 따르면 영풍 석포제련소는 무허가 지하수 관정을 운영했고, 관정 가운데 상당수에서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치인 0.01㎎/L을 훨씬 초과하는 카드뮴이 검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지난 2021년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석포제련소 공장내 지하수에서는 지하수 생활용수 기준의 최대 33만2,650배인 3,326.5 ㎎/L의 카드뮴이 검출됐다. 하천 바닥에 스며들어 흐르는 복류수 또한 하천수질기준 대비 15만4,728배인 773.64㎎/L이 검출됐다. 낙동강으로 일일 카드뮴 유출량은 약 22kg, 연간 기준으로는 약 8,030kg으로 계산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