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급락·과징금 겹치자 자본 확충 서둘러수도권·지방 지점·연수원 등 9곳 매각 추진우리금융 편입 후 고강도 구조조정 신호탄
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동양생명은 최근 부동산 자문사들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하고, 서울 종로지점 사옥을 포함한 전국 9개 부동산 매각을 추진하기로 했다. 제안서를 접수한 뒤 주관사를 정하고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매각 대상에는 수도권의 서울 창신동 종로지점, 성남 새분당지점, 고양 일산지점이 포함됐다. 모두 연면적 7000~8000㎡ 규모의 중소형 빌딩으로, 역세권 입지와 안정적 임차 구조를 갖춰 리츠와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예상된다. 1991년 오픈한 고양 인재개발원도 리스트에 올랐다. 지방 자산으로는 대구 남산동 지점(구분소유), 울산 달동 지점, 창원·진해 지점(구분소유), 전남 순천 지점 등이 포함됐다.
회사의 재무 상황은 빠르게 악화됐다. 동양생명의 상반기 순이익은 868억원으로 전년 대비 47.1% 줄었고, 보험수익은 704억원(–48.5%), 투자수익은 310억원(–57.3%)에 그쳤다. 본업과 자산운용이 동시에 부진에 빠진 셈이다. 여기에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가 신용정보법 위반으로 약 1400억원의 과징금 부과를 의결하면서 부담이 더해졌다. 금융위원회가 이를 확정할 경우, 동양생명은 상반기 순익의 두 배가 넘는 비용을 물어야 한다.
우리금융은 인수 직후 CFO 직속 재무진단TF를 꾸려 자산·부채 전반을 점검해 왔다. 이번 부동산 매각은 그룹 차원의 '자본 효율화 전략'의 첫 실행 사례다. 업계에서는 파인크리크CC·파인밸리CC 등 비영업용 골프장 매각 가능성까지 거론되며 추가 조정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IB 업계 관계자는 "동양생명은 전국 67개 영업 거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업용 부동산 가치만 1159억원에 달한다"며 "이번 매각은 시작에 불과하고 추가 자산 정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 동양생명 측은 "부동산 매각 여부를 확인해주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양미정 기자
certa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