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하나·신한·우리·NH농협)은 지난 11일 금융당국으로부터 자료요구·제출시스템(CPC)을 통해 하반기 새 가계 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요청받고 최근 새 목표치를 제시했다.
대부분 은행은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발표 당시 당국이 언급한 지침에 따라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올해 초 설정했던 규모의 약 절반으로 줄였다.
6·27 대책 발표 전 5대 은행은 올해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정책대출 제외)을 약 14조5000억원, 하반기 7조2000억원 정도로 잡았다. 그러나 이번에 제출된 관리 목표는 약 3조6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당국과의 조율이 끝나지 않아 은행별로 구체적 목표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상반기 가계대출 실적에 따라 축소율이 차등 적용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처럼 당국과 은행권의 깐깐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이어지면, 실수요자라도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하지만 은행은 하반기 증가 폭을 절반 정도로 줄여야 하는 만큼 결국 4분기에 목표 달성 압박이 커지면서 가계대출 절벽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