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네이버 '탄핵' 수혜···이용자·점유율 동시 증가

IT 인터넷·플랫폼

네이버 '탄핵' 수혜···이용자·점유율 동시 증가

등록 2024.12.17 09:44

강준혁

  기자

공유

탄핵안 표결 당일 네이버 검색 전체 65.91%'12·3 비상계엄' 이후 평시 대비 3~5%↑댓글수도 '쑥'···계엄 당일 전일보다 2배 '급등'

'12·3 비상계엄' 이후 네이버가 점유율과 이용자 측면에서 수혜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네이버는 뉴스 등 산하 서비스를 기반으로 이용자를 끌어모으며, 상승세를 그렸다. 업계에서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 우리 국민의 발길이 구글 등 경쟁 업체 서비스보다 평소 익숙한 네이버에 몰린 결과라고 입 모은다.

17일 데이터분석 플랫폼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탄핵소추안 표결이 진행된 지난 14일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65.91%였다. 전날(64.32%) 대비 1.59% 늘어난 수준이다. 2등 업체 구글은 0.67% 줄어든 25.37%으로 나타났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네이버 포털 점유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래픽=이찬희 기자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네이버 포털 점유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평소 대비 3~5%가량 증가한 수치다. 예컨대 지난달 14일 네이버의 점유율은 이때보다 6.71% 적은 59.2%였다. 같은 기간 구글은 31.2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윤 대통령 탄핵 정국 영향이 크다. 실제, 계엄 선포 당일에는 61.87%에 그쳤지만, 다음날 63.04%까지 오르고, 1차 탄핵안 표결 때는 65.34%까지 치솟았다. 탄핵안이 가결된 2차 표결(14일) 당시에는 65.91%까지 올랐다.

갑작스러운 이용자 유입에 한때 네이버 카페 등 일부 서비스에서 접속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뉴스의 경우 이런 경향이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실제, 네이버는 이 기간 뉴스 서비스 접속량이 재해·재난 상황 가운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네이버 뉴스 댓글 통계를 살펴보면, 이런 흐름을 보다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데, 계엄 선포가 있던 지난 3일을 기점으로 정치·경제·세계 등 특정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댓글 수가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날인 4일, 네이버 뉴스에는 총 83만3978개 댓글이 달렸다. 이는 전일 대비 235.9% 늘어난 수준이다.

주요 카테고리별로 ▲정치는 304.9% 늘어난 60만3067개 ▲경제는 49.5% 늘어난 4만7215개 ▲세계는 74.5% 증가한 2만8125개로 집계됐다. 생활 등 현안과 다소 동떨어진 카테고리에서는 반대된 흐름을 보였다.

두 번의 표결 끝에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이런 분위기는 차츰 가라앉는 분위기다. 15일 기준 총 댓글수는 50만174개까지 떨어졌다. 댓글은 지속 하락하면서 점차 예년 수준으로 되돌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시국이 흉흉해지면서 뉴스·밴드·카페 등 다양한 서비스에 방문자가 몰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어떻게 보면, 아직까지 국내 시장에서 구글 등 다른 검색엔진보다는 네이버의 영향력이 압도적이라는 것을 다시금 증명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