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유안타證 "실리콘투, 유통사 역할 강화 따른 밸류에이션 재평가 필요"

증권 종목

유안타證 "실리콘투, 유통사 역할 강화 따른 밸류에이션 재평가 필요"

등록 2024.09.09 08:23

유선희

  기자

공유

유안타증권이 실리콘투에 대해 K-뷰티 성장을 주도하는 유통사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어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는 6만원을 유지했다. 전 거래일 실리콘투는 3만9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9일 이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실리콘투의 주가는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약 250% 급등했다"면서 "지난 6월 말부터 시작된 대형 화장품주들의 실적 부진, 수출 성장률 둔화, 국내 화장품 브랜드사의 아마존 직진출에 따른 매출 감소 우려,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고점 대비 약 38% 하락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주가 약세 흐름 속에서도 실리콘투는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실적에서 눈에 띄는 점은 국가 별 매출 비중 변화"라며 "기존 주요 시장이었던 미국과 국내 역직구 비중은 감소했지만 폴란드, UAE(아랍에미리트), 호주 등 신흥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은 증가했다. 이는 실리콘투가 과거 중국에 매출이 지나치게 집중됐던 K-뷰티 리스크를 점진적으로 해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아마존을 통한 K-뷰티 직진출이 실리콘투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2분기 아마존을 통한 매출 비중은 약 5%로 추정되며, 동사의 주 매출원인 CA(B2B) 비즈니스가 80%를 차지하고 있어 아마존(B2C) 비즈니스는 이익 기여도가 낮다"며 "이는 아마존 직진출에 따른 주가 하락이 지나치게 과장된 반응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리콘투의 재고 자산 증가가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됐으나, 이는 실리콘투의 100% 사입구조 특성 상 매출 증가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봤다. 다만 화장품 특성 상 재고가 1년 이상 경과할 경우 체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업황이 부진할 경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단기적인 월별 수출 실적 만으로 성장을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로 실리콘투는 글로벌 K-뷰티 성장을 주도하는 유통사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밸류에이션 재평가(Re-rating)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