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IT 밀리의서재, 구독상품 라인업 재편···종이책 별도 구독도 시작

IT 인터넷·플랫폼

밀리의서재, 구독상품 라인업 재편···종이책 별도 구독도 시작

등록 2024.07.09 17:02

김세현

  기자

공유

종이책, 전자책 결합 구독 상품 서비스 종료종이책 정기 구독 상품 출시···"선택의 폭 넓혀"통신사 번들링 상품 효과···"서비스 이용 4배 증가"

밀리의서재가 구독 상품을 새롭게 선보인다. 그래픽=이찬희 기자밀리의서재가 구독 상품을 새롭게 선보인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밀리의서재가 '구독상품' 라인업 재편에 나선다. 그간 전자책을 구독하면 종이책을 함께 보내주던 상품의 신규 가입을 제한하는 한편, 종이책만 정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는 상품을 새로 만들기로 했다. 독서 환경이 온라인으로 넘어오는 추세지만, 여전히 종이책을 선호하는 이들도 많다는 판단이 배경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밀리의서재는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 '종이책+전자책 정기구독' 상품의 신규 가입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대상은 종이책+전자책 연·월 정기구독 상품 두 가지다. 이로써 2019년 10월 선보인 후 약 5년 만에 상품 판매가 종료된다. 밀리의서재는 "회원님들의 요구사항에 더 적합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종이책+전자책 정기구독은 전자책 이용을 포함해 밀리의서재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두 달에 한 번씩 종이책도 함께 배송해준다. 실물 종이책의 경우 서점에서 구할 수 없는 유명 작가의 신작이나 한정판 책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론칭 초반 인기였다. 그러나 점차 전자책이나 종이책 단건에 대한 니즈가 커졌고, 판매 종료를 결정하게 됐다.

이에 따라 밀리의서재는 '종이책'만 따로 구독할 수 있는 '밀리 컬렉션 정기구독'을 전날 도입했다. 이 상품은 매월 혹은 매년 동일한 날짜에 정기 구독 금액을 결제하고, 밀 리가 제작한 프리미엄 한정판 종이책을 매월 배송받는 서비스다. 웹사이트에서 결제가 가능하며 매월 2만19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밀리의서재 관계자는 "독서하면 종이책과 전자책 두 가지를 떠올리기 마련"이라며 "전자책 하나보단 종이책 정기 구독 서비스를 출시해 이용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구독 상품 개편에는 이전부터 전자책 구독 서비스와 종이책 판매 등 다양한 사업을 중심으로 외형을 확장하며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밀리의서재의 지난 1분기 매출은 1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로 크게 늘었다.

지난 5월 1분기 실적 발표 당시 밀리의서재는 매출 증가의 배경으로 ▲안정적인 전자책 정기 구독 매출 ▲B2B·B2BC 사업 확대로 수입원 다각화 ▲오리지널 IP를 활용한 종이책 판매 등을 꼽은 바 있다. 실제로 한국IR협의회에 따르면 밀리의서재는 현재 약 16만권의 독서 콘텐츠를 보유 중이며, 지난해 매출액 기준 전자책 정기구독은 98.1%, 종이책과 전자책 정기 구독 0.6%, 기타 매출(상품 판매 및 유통 매출) 1.3%로 구성돼 있다.

특히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와의 요금제 번들링 상품 출시로 구독 상품 구매를 더욱 용이하게 했다. 김태현 한국IR협의회 연구원은 "요금제 번들링으로 제공하는 밀리의서재 독서 구독 서비스에 대한 실 이용률이 2022년 3월 8%에서 지난 3월 35%까지 약 4배 증가하며 매력적인 부가 서비스임을 입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구독형 독서플랫폼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밀리의서재의) 다각화된 판매 채널 전략이 실 구독자를 늘리며 올해 매출 신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