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한국은행, 오늘 기준금리 결정···동결하고 '숨고르기' 들어가나

금융 금융일반

한국은행, 오늘 기준금리 결정···동결하고 '숨고르기' 들어가나

등록 2023.02.23 08:00

한재희

  기자

공유

경기 침체 우려에 동결 관측 우세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또 한번 기준금리를 인상할지, 그간 숨가쁘게 인상 랠리를 이어온만큼 숨고르기에 들어갈지 관심이 쏠린다.

한은 금통위는 23일 오전 9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3.50%로 지난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긴축정책으로 1년 6개월 동안 3.0%포인트 올랐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3월 채권시장 지표(BMSI)'에 따르면 지난 10~15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48개 기관, 1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66%는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본 34%(34명) 응답자 중 97%(33명)가 0.25%포인트 인상을, 3%(1명)가 0.50%포인트 인상을 예상했다.

동결을 전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기침체 우려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역성장(-0.4%)하면서 위기감을 높였다. 한은은 올해 1분기 역성장은 아닐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지만 수출 부진 등은 더욱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올 2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335억4900만 달러)도 전년 동월 대비 2.3% 적다. 아울러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90.2) 역시 1월(90.7)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1.25%포인트(한국 3.50%·미국 4.50∼4.75%)로 유지된다. 다만 미 연준이 다음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는 경우에는 금리차가 1.50%까지 벌어지게 된다.

한편 이날 오후 한은은 수정 경제 전망도 발표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가 올해 성장률 하향 조정을 시사한 만큼 그 폭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1.5∼1.6%를 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기존 1.7%(2022년 11월 전망치)보다 0.1∼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