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개기월식 사진, 갤럭시가 아이폰보다 선명했던 이유는?

이슈플러스 일반

개기월식 사진, 갤럭시가 아이폰보다 선명했던 이유는?

등록 2022.11.10 20:41

공유

일본인이 갤럭시 S21 울트라와 아이폰 14 프로맥스로 각각 찍은 개기월식 사진. 트위터 캡처일본인이 갤럭시 S21 울트라와 아이폰 14 프로맥스로 각각 찍은 개기월식 사진. 트위터 캡처

지난 8일 밤 200년 뒤에나 볼 수 있다는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 동시 발생 현상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았다. 그런데 그만큼이나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사건이 또 있다.

이날 개기월식으로 붉어진 달의 모습을 촬영한 스마트폰 기종별 사진들의 화질 차이가 온라인에서 며칠째 계속 화제가 되고 있다.

한 일본인은 이날 트위터에 각각 다른 기종의 휴대전화로 찍은 사진 4장을 올렸다. 이 가운데 갤럭시 S21 울트라가 달의 모습을 가장 잘 구현했는데,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표면과 분화구까지 비교적 선명히 찍혀 있었다.

반면 아이폰 13 프로맥스와 아이폰 14 프로맥스, 구글 픽셀 7로 찍은 달 사진은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것까지는 표현됐지만, 표면이 밝게 빛날 뿐 분화구 모습 등은 분별하기 어렵다.

이 사진이 회자하며 일부 네티즌은 "갤럭시는 카메라가 달을 인식하면 기존에 만들어진 여러 개의 달 이미지 데이터를 덧씌워 일종의 합성을 하기 때문"이라는 의혹을 내놓기도 했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달고리즘(달+알고리즘)'을 쓴다"는 표현도 나왔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005930] 관계자는 10일 연합뉴스에 "갤럭시 S21 울트라는 10배 줌 카메라를 쓰는 데다 실제 렌즈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로 당기는 디지털 줌으로 10배를 곱해 줌이 총 100배인데 반해 아이폰 프로맥스는 3배, 구글 픽셀 7은 5배여서 나타나는 화질 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달고리즘' 의혹에 대해선 "야간 촬영에서 최상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이미지를 여러 개 찍어 하나로 하는 멀티프레임 합성과 선이나 패턴의 디테일을 살려주는 인공지능(AI) 보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지 인위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