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수소연소엔진 개발 착수···25년 양산 목표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수소연소엔진 개발 착수···25년 양산 목표

등록 2022.06.26 13:25

이세정

  기자

공유

수소엔진 'HX12' 콘셉트 이미지와 탑재 가능한 제품군. 사진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제공수소엔진 'HX12' 콘셉트 이미지와 탑재 가능한 제품군. 사진 =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제공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상용차, 버스 및 건설기계에 사용될 수소연소엔진 개발에 나선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국책과제인 '건설기계·상용차용 수소엔진 시스템 및 저장·공급계 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사업을 통해 '탄소 제로' 실현이 가능한 출력 300㎾(킬로와트), 배기량 11L(리터)급 수소엔진과 수소 탱크 시스템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2024년까지 트럭, 대형버스 등 상용차와 굴착기 등 건설기계에 수소엔진을 탑재해 검증을 거친 후 2025년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엔진은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미래 3대 탄소중립 파워트레인(전기배터리·수소연료전지·수소엔진) 중 하나로 꼽힌다. 기존 내연기관의 연료 공급계와 분사계 등을 변경해 수소를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

수소엔진은 기존의 엔진 기술과 설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동시에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99.99%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이용해야 하는 연료전지와 달리 수소엔진은 저순도의 수소로도 구동이 가능해 경제적이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수소엔진은 건설기계와 트럭, 버스 등 중대형 상용차는 물론 중대형 발전기에 사용될 것"이라며 "탄소배출 규제에 맞춰 수소 관련 기술을 개발해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