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폐플라스틱·탄소 제로 달성"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 "폐플라스틱·탄소 제로 달성"

등록 2022.02.06 10:12

수정 2022.02.06 10:13

장기영

  기자

공유

SK이노베이션 공식 보도채널 인터뷰열분해 등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세계 최초로 울산에서 상업공장 운영친환경 실천 캠페인 지속적으로 전개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이 SK이노베이션 공식 보도채널 '스키노뉴스(SKinno News)'와의 인터뷰에서 '폐플라스틱·탄소 제로(Waste & Carbon Zero)'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이 SK이노베이션 공식 보도채널 '스키노뉴스(SKinno News)'와의 인터뷰에서 '폐플라스틱·탄소 제로(Waste & Carbon Zero)'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의 화학사업 자회사인 SK지오센트릭 나경수 사장이 올해를 '폐플라스틱·탄소 제로(Waste & Carbon Zero)' 전략 실행 원년으로 선포했다.

6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나 사장은 최근 SK이노베이션 공식 보도채널 '스키노뉴스(SKinno News)'와의 인터뷰에서 "올해는 준비해 온 모든 전략과 계획을 본격적으로 실행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폐플라스틱·탄소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폐플라스틱·탄소 제로 전략은 플라스틱 순환체계 구축을 통해 폐플라스틱과 탄소 발생량을 '0(Zero)'으로 만드는 전략이다.

나 사장은 "SK지오센트릭은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된 석유화학사업을 이끌어왔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다"며 "이제는 저력과 역량을 바탕으로 탄소중립과 친환경을 요구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시대에 새로운 길을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 화학제품 비중을 100%로 확대해 '폐플라스틱 제로'를 달성하고, 탄소 배출량은 2050년까지 0으로 만들어 '탄소 제로'를 실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나 사장을 이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로 ▲열분해 ▲해중합 ▲고순도 폴리프로필렌 추출을 제시했다.

나 사장은 "글로벌 기업들과의 합작을 바탕으로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각각 적용한 상업공장을 세계 최초로 울산에서 운영함으로써 각 재활용 공정간 운영 효율성과 시너지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에 플라스틱이 매립 및 소각될 때 발생하던 이산화탄소 배출량 만큼의 탄소를 저감하는 친환경 사회적 가치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 사장은 '3R(Reduce·Replace·Recycle) 솔루션' 제품과 바이오 원료 및 소재 도입 확대 방침도 밝혔다.

그는 "플라스틱 사용량 줄이고 친환경 제품이나 재활용이 쉬운 제품으로 대체하는 한편, 석유가 아닌 바이오매스 기반 원료와 소재를 도입해 폐플라스틱 발생량과 석유 정제 및 처리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 사장은 또 "플라스틱 순환체계 구축은 어느 한 기업이나 분야에서만 잘한다고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함께 해결 방안을 찾는 '친환경 포럼'을 지속적으로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이 밖에 나 사장은 "친환경은 거대 담론인지라 실행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며 "나부터 시작이라는 생각으로 폐플라스틱을 줍는 플로깅과 '테이크 그린(Take Green)' 캠페인 등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국내 첫 석유화학회사로서 책임감을 갖고 모든 대중이 환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친환경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진정성을 이어나가겠다"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