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고금리 인하 1개월···금융당국 “저신용자 대출 이상無”

최고금리 인하 1개월···금융당국 “저신용자 대출 이상無”

등록 2021.08.19 13:36

차재서

  기자

공유

지난 1개월간 저신용자 대출 공급액 8700억원 평균금리도 ‘16.9%’로 작년 하반기보다 내려가

사진=금융위원회 제공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당국이 지난 1개월간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따른 금융시장 변화를 지켜봤지만 저신용자 대출이 급격히 감소하는 등의 특이동향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평가를 내놨다.

1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7일부터 이달 6일까지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탈), 대부회사의 저신용자(신용등급 7~10등급) 신용대출 공급액은 8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고금리 인하 이전 1년의 월평균 공급 규모인 8100억원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또 금융위는 최고금리 인하 후 저신용자 신용대출 평균금리가 16.9%로 작년 하반기의 17.9%보다 내려갔다고 설명했다. 최고금리 인하 이후 신규 저신용대출 금리 인하와 기존 고금리 대출 해소 등을 통해 금융부담 경감 효과가 원만히 나타나고 있다는 진단이다.

특히 저축은행을 비롯한 각 업권은 앞서 발표한 자율적 소급 인하 계획에 따라 기존 20% 초과 고금리 대출의 금리를 인하했다.

이 가운데 최고금리 인하 후속조치로 출시된 안전망 대출II 등 정책서민금융상품도 차질없이 공급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8월11일까지 약 한 달 동안 햇살론15는 1297억원(1만9000건), 안전망 대출II는 63억원(695건)의 공급이 이뤄졌다.

이번 분석은 신용대출 규모 기준 상위 20개 저축은행, 상위 15개 여신전문금융사, 상위 20개 대부회사 등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들은 각 업권별 신용대출의 90∼95%를 점유한다.

이세훈 금융위 사무처장은 “최고금리 인하 이후 한 달 동안, 저신용자 자금이용기회 위축 등 특이동향 없이 금융부담 완화 효과가 원만히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 확산, 가계부채 관리 필요, 금리상승 가능성 등 실물경제·금융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신규제도 안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신용층에게 꼭 필요한 수준의 대출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금융당국·업권의 세밀한 동향파악·관리가 요구된다”며 “서민금융 우수대부업자 제도 등은 제도가 시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각 기관이 맡은 역할을 수행해달라”고 당부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