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삼성家 이건희 지분 상속 마무리···이재용 중심 경영·가족 화합(종합)

삼성家 이건희 지분 상속 마무리···이재용 중심 경영·가족 화합(종합)

등록 2021.04.30 18:02

이지숙

,  

김정훈

  기자

공유

삼성전자·물산·SDS 지분 법정 상속비율대로 분배삼성생명 2대주주 이재용···전자 지배력 강화전자 지분 홍라희 2.30%·이재용 1.63%로 확대이부진·서현 전자 지분 0.93%씩 확보

삼성家 이건희 지분 상속 마무리···이재용 중심 경영·가족 화합(종합) 기사의 사진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삼성생명 지분 절반이 이재용 부회장에게 상속됐다. 삼성전자·물산·SDS 등 나머지 지분은 유족 간 법정 상속비율대로 분배되며 지분 상속이 일단락 됐다.

삼성 총수 일가가 30일 이 전 회장의 상속세 1차분(약 2조원)을 납부하며 계열사 지분의 유족 배분내역이 공개됐다.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SDS 등은 유족들이 법정 상속비율대로 나눠 가졌으며 삼성전자의 최대주주인 삼성생명 지분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이 전 회장의 상속 지분의 50%를 물려 받았다. 이에 따라 이 부회장은 삼성생명을 통한 삼성전자 지배력을 강화하게 됐다.

그룹의 핵심인 삼성전자 지분과 삼성생명 지분을 모두 이 부회장이 상속 받을 경우 상속세 부담이 커지는 만큼, 삼성생명 지분 절반을 이 부회장이 상속받고 나머지 계열사의 경우 법정상속분 대로 가족간 분배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12조원이 넘는 막대한 상속세를 감안할 때 형제 간 대출을 받고 배당으로 상속세를 내야 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재계에선 이건희 회장의 보유 지분이 법정 상속비율대로 균등하게 유족 4명에게 배분된 것을 두고 큰 틀에서는 삼성 일가가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하면서 가족 간 화합을 고려한 결정이 나왔다는 평가다.

삼성전자·물산·SDS 지분의 균등한 배분과 달리 지배구조 중심에 있는 삼성생명 지분을 이재용 부회장이 절반을 상속받은 것은 삼성그룹이 이 부회장 중심의 경영 체제를 이어간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삼성가 유족들은 이날 용산세무서에 이 전 회장의 상속세를 신고했다. 이날은 유족의 상속세 신고 기한 마지막 날이다.

삼성 일가는 지난 28일 이 전 회장이 남긴 유산에 대한 12조원 이상 상속세 납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당시에는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법과 유족간 주식 분할 방식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1차 상속세를 납부하며 이 부회장을 비롯해 홍라희 여사,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등 유족들간 지분 분할 내역이 공시됐다.

이 전 회장 보유 상장사 지분은 ▲삼성전자 2억4927만3200주(4.18%) ▲삼성전자 우선주 61만9900만주(0.08%) ▲삼성생명 4151만9180주(20.76%) ▲삼성물산 542만5733주(2.88%) ▲삼성SDS 9701주(0.01%) 등이다.

현재 삼성 지배구조는 ‘이재용 부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며 이 전 회장의 지분 상속 후에도 연결고리에는 변동이 없다. .

우선 삼성생명의 경우 이 부회장이 이 전 회장의 보유 지분 4151만9180주 가운데 절반인 2075만9591주를 상속받았다.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이사장도 각각 1383만9726주, 691만9863주를 챙겼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의 최대주주도 이건희 회장에서 삼성물산으로 변경됐다. 지분 상속이 이뤄지며 삼성생명 지분은 ▲삼성물산 19.34% ▲이재용 부회장 10.44% ▲이부진 사장 6.92% ▲이서현 이사장 3.46%를 보유하게 됐다.

가장 큰 관심을 끈 삼성전자 주식은 재계의 예상을 뒤엎고 법정 상속비율대로 상속됐다.

홍라희 여사가 9분의 3, 이 부회장과 장녀 이부진 사장, 이서현 이사장이 각각 9분의 2씩 상속받았다. 이에 따라 오너 일가 중 가장 많은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한 인물은 이건희 회장에서 홍라희 여사로 변경됐다.

변경 된 삼성전자의 오너 일가의 지분율은 ▲홍라희 여사 2.30% ▲이재용 부회장 1.63% ▲이부진 장 0.93% ▲이서현 이사장이 0.93%이다.

이 밖에 삼성물산과 삼성SDS 주식도 법정상속 비율에 따라 홍라희 여사가 9분의 3, 3남매가 각각 9분의 2를 받았다.

삼성물산은 이 전 회장이 소유했던 회사 지분을 이재용, 이부진, 이서현 3자녀가 각 120만5720주씩 상속했다고 공시했다. 홍라희 여사는 가장 많은 180만8577주를 받았다.

이에 따라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물산 지분은 기존 17.48%에서 17.97%로 증가했으며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이사장의 지분은 각각 5.60%에서 6.19%로 늘어났다. 삼성물산 지분을 보유하지 않고 있던 홍라희 여사는 0.96%를 보유하게 됐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법과 원칙대로 공정하게 배분했고, 딸들도 아버지 지분을 상속받게 돼 이재용 부회장이 독단적으로 경영을 하지 않고 동생들과 함께 가족간 공동 경영을 한다는 의미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