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법무부 “김학의 출금 논란 부차적···장관 직권으로 가능”

법무부 “김학의 출금 논란 부차적···장관 직권으로 가능”

등록 2021.01.16 18:55

장기영

  기자

공유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진=연합뉴스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진=연합뉴스

법무부가 김학의 전 차관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는 장관 직권으로도 가능하다며 정당한 조치였다고 16일 재차 강조했다.

법무부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김 전 차관의 심야 해외 출국 시도에 따라 이뤄진 긴급 출국금지 일부 절차와 관련한 논란은 출국금지 자체의 적법성과 상당성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부차적인 논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장관이 수사기관의 요청 없이도 직권으로 ‘출국이 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사람’에 대해 출국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한 ‘출입국관리법’ 4조 2항을 근거로 들었다.

실제 2013년 황교안 법무부 장관 당시 수사기관의 요청이 없었음에도 장관이 직권으로 출국금지를 한 사례가 있다는 게 법무부의 설명이다.

법무부는 또 출국금지를 요청한 진상조사단 소속 검사는 법적으로 수사기관에 해당하는 만큼 내사 번호 부여, 긴급 출국금지 요청 권한이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법무부는 “당시 김 전 차관의 국외 도피 가능성이 보도되고 있었기 때문에 긴급 출국금지 요청이 없었다면 장관 직권으로라도 했을 것”이라며 “하지 않았더라면 오히려 직무유기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접대와 뇌물수수 의혹을 받았던 김 전 차관은 당초 검찰 수사 과정에서 두 차례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재조사 끝에 지난해 10월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김 전 차관은 재수사 여론이 높아졌던 2019년 3월 태국 방콕으로 출국을 시도했으나, 긴급 출국금지 조치로 비행기 탑승 직전 제지당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무혐의 처분으로 종결된 사건의 번호나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내사 사건 번호를 근거로 출국금지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위법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