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 66주 연속 올라···상승폭 소폭 확대

서울 아파트 전셋값 66주 연속 올라···상승폭 소폭 확대

등록 2020.10.04 11:09

김소윤

  기자

공유

강남4구·노원·동작 등 상승폭 커져수도권 전셋값도 60주 연속 상승···안산·광명시 등 상승폭 커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6주 연속 0.01% 올라···‘횡보’

서울 부동산 전경.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서울 부동산 전경.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60주 연속 상승하며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서울은 '강남 4구'와 노원·동작·성동구 등의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전주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6주 연속 0.01% 상승하며 횡보했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조사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5%로, 작년 8월 둘째주 이후 60주 연속 상승했다.

전셋값 상승폭은 직전 5주 연속 0.16%에서 소폭(0.01%포인트)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새 임대차 법 시행 직후인 8월 첫째주 0.22% 올라 올해 최고점을 찍은 뒤 0.18%(8월2주)→0.17%(8월2주)→0.16%(8월3주∼9월4주)→0.15%(9월5주)로 둔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여전히 전세 품귀에 가격이 내리지 않아 불안한 모습이 계속되고 있다.

감정원은 저금리 기조와 새 임대차 법 시행, 가을 이사철 등의 영향으로 입지가 양호한 역세권 위주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급등 이후 다소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이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최소한 올해 연말까지는 전세시장의 불안이 쉽게 진정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주 0.09% 올라 66주 연속 상승했다. 지난주(0.08%)보다 상승폭을 소폭 키웠다.

고가 전세 아파트가 많은 '강남 4구'(0.10%→0.12%)를 비롯해 노원구(0.07%→0.14%), 동작구(0.08%→0.12%) 등 외곽 지역에서도 상승폭을 1.5∼2배 키운 곳이 있어 눈에 띄었다.

강남 4구에서는 강남구가 0.09%에서 0.12%, 서초구가 0.07%에서 0.09%로 각각 상승폭을 키웠고, 송파구(0.12%→0.13%)와 강동구(0.13%→0.14%)도 전주보다 상승률이 올라갔다.

강남구 도곡렉슬 85㎡는 지난달 28일 보증금 15억5천만원(5층)에 전세 거래가 이뤄져 신고가를 갱신했고, 래미안대치팰리스 91.93㎡도 지난달 보증금 17억3천만원(28층)에 최고가격으로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노원구에서는 준공 24년차인 하계1청구 전용 84.6㎡가 지난달 11일 보증금 5억원(7층)에 전세 계약이 이뤄져 처음으로 5억원을 넘겼고, 상계동 보람2단지 79.25㎡는 지난달 26일 4억원(10층)에 전세 계약서를 써 4억원을 돌파했다.

동작구에서도 입주 28년차인 극동아파트 84.32㎡가 지난달 23일 보증금 5억3천만원(15층)에 전세 계약돼 최고 가격 기록을 깼다.

노원·동작구 외에도 종로구(0.02%→0.03%), 성동구(0.08%→0.09%) 등도 상승폭이 커졌다.




[연합뉴스]


뉴스웨이 김소윤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