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호텔신라, ‘동화면세점 떠넘기기’ 소송 1심서 승소

호텔신라, ‘동화면세점 떠넘기기’ 소송 1심서 승소

등록 2020.06.26 17:33

정혜인

  기자

공유

호텔신라가 동화면세점 최대주주인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과의 소송전에서 일단 승리했다. 호텔신라는 2017년부터 김 회장과 동화면세점 지분을 둘러싸고 서로 갖지 않겠다고 떠넘기는 내용의 소송을 벌여왔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제17민사부는 호텔신라가 김 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주식매매대금 청구소송에 대해 호텔신라의 승소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김 회장은 호텔신라에 788억1047만원을 지급해야 한다.

이번 소송은 동화면세점의 지분을 둘러싼 것으로 1심 판결까지만 벌써 3년 여를 끌어왔다.

사건의 발단은 7년 전인 201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호텔신라는 당시 김 회장이 보유한 동화면세점 주식 19.9%를 600억원에 매입했다. 롯데관광의 용산개발사업 부실 해결을 돕기 위해서였다. 김 회장은 고(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막내 여동생인 신정희 동화면세점 대표의 남편이다.

호텔신라는 지분 매입을 계약을 하면서 계약 체결 후 3년이 지난 시점에서 풋옵션(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조항을 넣었다. 김 회장이 해당 주식을 재매입하지 못하면 담보 설정된 김 회장의 동화면세점 지분 30.2%(54만3600주)를 호텔신라가 가져가기로 했다.

그리고 3년이 지난 2016년 6월 호텔신라는 해당 계약에 따라 풋옵션을 행사, 김 회장에게 지분 19.9%에 상응하는 돈을 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김 회장 측은 주식을 재인수할 여건이 안 되니 담보였던 동화면세점 주식 30.2%를 가져가라고 대응했다.

이에 호텔신라는 2017년 7월 주식 처분금액을 반환하라며 소송으로 맞섰다. 호텔신라가 김 회장의 대응대로 동화면세점 주식 30.2%를 보유하게 되면 이 회사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사실상 호텔신라와 김 회장이 서로 동화면세점을 갖지 않겠다는 내용의 소송이었던 셈이다.

호텔신라가 소송까지 벌인 것은 동화면세점 최대주주가 되더라도 이 면세점을 운영할 수 없어서다. 현행법상으로도 호텔신라는 대기업으로 분류돼 중소 면세사업자인 동화면세점 경영권을 넘겨받아도 운영할 수 없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면세시장이 위축돼 동화면세점 경영권을 넘겨 받더라도 매각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김 회장은 이번 소송 결과에 대해 항소를 제기할지 여부에 대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