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회예정처 “소상공인 긴급대출, 저신용자 자금난 막기 역부족”

국회예정처 “소상공인 긴급대출, 저신용자 자금난 막기 역부족”

등록 2020.05.26 08:28

임대현

  기자

공유

사진=국회예산정책처 보고서사진=국회예산정책처 보고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긴급대출 상품이 저신용자의 자금난을 막기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경제·산업동향&이슈’에 실린 ‘코로나19 대응 정책금융 지원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저신용자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자금의 소진율이 높았다. 생각보다 빠르게 자금이 소진되는 걸 보면 저신용자에 대한 자금난을 해소하기 힘든 것으로 파악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 1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중 소상공인진흥공단(소진공)의 소상공인 안정자금 소진율은 4월 말 기준으로 97.6%였다. 이에 비해 기업은행 초저금리 대출의 소진율은 80.2%였다. 시중은행의 이차(利差)보전 프로그램은 38.3%의 소진율을 보였다.

세 가지 프로그램의 건당 평균 지원액은 각각 2300만원, 2900만원, 2500만원으로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이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소상공인을 위해 마련한 긴급대출 프로그램들이다.

금리는 모두 연 1.5%로 같지만, 지원 대상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선택지가 다르다. 소상공인 안정자금은 저신용자(신용등급 7등급 이하), 초저금리 대출은 중신용자(4∼6등급), 이차보전 대출은 고신용자(1∼3등급) 대상이다.

저신용 소상공인이 신청할 수 있는 경영 안정자금은 접수 첫날 3352건이 몰리는 등 소진공 접수창구는 북새통을 이뤘다. 이후 ‘스마트 대기 시스템’ 도입 등으로 사정이 나아지긴 했지만, 신청 건수가 워낙 많고 승인 절차도 복잡해 실제 지원금을 받기까지는 한 달 이상 걸렸다.

국회예정처는 “정책금융 지원 실적을 점검한 결과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신청이 급증해 소상공인·영세사업자의 긴급한 자금 애로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신용도가 낮은 소상공인이 선택할 수 있는 정책금융 프로그램이 한정적이고 신청 경로도 제한적이어서 실제 현장의 대출 수요를 맞추기에는 모자란다는 분석이다. 이에 국회예정처는 “향후 지원되는 정책금융은 각 프로그램이 소진율을 참고해 수요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중견·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원은 다양한 프로그램에 비해 집행 실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해외진출 사업을 지원하는 수출입은행의 ‘코로나19 피해기업 긴급금융’ 프로그램은 4월말 기준 소진율이 66.7%,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경영정상화' 프로그램은 14.8%였다. 국회예정처는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지원되는 정책 프로그램이 다양해 신청 경로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뉴스웨이 임대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