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통합당, 원내 의견 ‘김종인 비대위’로 결론

통합당, 원내 의견 ‘김종인 비대위’로 결론

등록 2020.04.22 11:52

임대현

  기자

공유

심재철 미래통합당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심재철 미래통합당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미래통합당이 당내 의원들과 21대 총선 당선자들의 의견을 취합해 김종인 전 총괄 선대위원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영입하기로 결론냈다. 하지만 김종인 전 위원장이 요구하는 사항을 통합당이 받아들일지가 미지수다.

22일 통합당은 현역의원과 21대 총선 당선인 142명 중 140명을 상대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김종인 전 위원장을 영입해 비대위체제를 갖기로 했다. 전날 통합당은 비대위로 전환할지 현행 대표 권한대행(심재철 원내대표) 체제에서 조기 전당대회를 치를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심재철 권한대행은 “김종인 비대위 의견이 다수였고, 그래서 김종인 비대위로 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찬성 의견은 절반에 가까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과반은 아니었지만 다수가 김종인 비대위를 지지했다는 것이다.

김 전 위원장은 임기에 제한을 두지 않고 당헌·당규에 구애받지 않는 전권이 주어지면 비대위원장직을 맡을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해 “전당대회를 7월, 8월에 하겠다는 전제가 붙으면 나한테 와서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얘기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비상대책이라는 것은 당헌·당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며 “국가가 비상 상태를 맞아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면 헌법도 중지되는 것”이라고도 말했다.

이날 최고위에선 비대위원장의 임기나 권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비공개 최고위 참석자들이 전했다. 심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할지 기자들이 묻자 “(김 전 위원장을) 조만간 만나 뵐 것"”라며 “아마 수락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임대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