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2주만에 플랜B 윤곽”···이문환 케이뱅크 대표, ‘해결사’ 역할 톡톡

“2주만에 플랜B 윤곽”···이문환 케이뱅크 대표, ‘해결사’ 역할 톡톡

등록 2020.04.17 15:33

차재서

  기자

공유

BC카드, ‘케이뱅크 구원투수’ 나설 듯 KT서 지분 인수하고 유상증자도 참여‘특례법 개정’ 무산돼도 자본확충 가능‘개점휴업’ 케이뱅크 경영정상화 기대

사진=케이뱅크 제공사진=케이뱅크 제공

이문환 케이뱅크 대표가 전 직장 BC카드를 앞세워 경영정상화에 속도를 높인다. 취임 2주 만에 6000억원 규모의 자본확충 계획을 이끌어낸 데 이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플랜B’까지 구체화하며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평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BC카드는 지난 14일 이사회를 열어 모회사 KT 대신 케이뱅크의 지분 34%를 취득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마쳤다. BC카드가 KT의 케이뱅크 지분 10%를 363억원에 사들이고, 은행이 진행 중인 5949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도 참여해 지분을 늘리는 게 골자다.

BC카드는 KT로부터 케이뱅크 구주를 넘겨받는 한편, 기존 주주가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아 발생하는 실권주를 사들여 은행 지분을 ‘인터넷은행 특례법’상 한도인 34%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를 위해 BC카드가 투입할 금액은 약 2988억원에 달한다.

이는 인터넷은행법이 개정되지 않은 현 시점엔 주요 주주인 KT의 역할이 제한적인 만큼 ‘우회로’를 거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해 케이뱅크는 은산분리 문턱을 낮춘 인터넷은행법 시행과 함께 KT 중심의 대규모 증자를 추진했으나 성사시키기 못하고 276억원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현행법에선 인터넷은행 최대주주가 되려면 5년 내 금융관련법·공정거래법·조세범처벌법 위반으로 벌금형 이상을 받은 일이 없어야 한다고 규정하는데, KT가 담합 혐의에 휘말린 바 있어서다.

또 국회가 총선 후 대주주 자격 완화 등 내용이 담긴 인터넷은행법 개정안을 다시 논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KT 특혜’ 논란이 시들지 않아 결과를 낙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KT 자회사인 BC카드가 나서준다면 케이뱅크는 무난히 자본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역시 반대하지 않는 눈치다. 카카오뱅크 최대주주였던 한국투자금융지주도 비슷한 이유로 한국투자증권이 아닌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으로 지분을 양도했다.

일각에선 ‘플랜B’를 이끌어낸 이문환 신임 대표의 협상력에도 주목하고 있다. 전 BC카드 사장인 이 대표가 케이뱅크 행장에 내정될 때부터 이 같은 ‘우회증자’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점쳐졌는데 이를 실현해내며 대표로서의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6000억원 규모의 증자(주금납입일 6월18일)가 마무리되면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5051억원에서 약 1조1000억원으로 늘어난다.

경영 여건도 한층 개선될 전망이다. 현재 이 은행은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과 ‘직장인K 신용대출’ 등 주력 상품의 판매를 중단한 채 ‘개점휴업’을 이어가는 상태다. 이로 인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0.88%(작년말 기준)로 국내 19개 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연간 기준 당기순손실은 1007억7300만원으로 늘었다. 올해도 증자에 실패하면 BIS 비율이 10% 아래로 추락해 금융당국의 관리 대상에 오를 수 있다.

케이뱅크 주주사 관계자는 “은행 주주간 협의가 필요하고, 실권주가 얼마나 발생할지도 알 수 없어 BC카드의 계획대로 거래가 이뤄지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