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재계 총수’ 신동빈·이재현·허창수 순···샐러리맨 1위는 SK 조대식(종합)

[임원보수]‘재계 총수’ 신동빈·이재현·허창수 순···샐러리맨 1위는 SK 조대식(종합)

등록 2020.03.31 07:42

수정 2020.03.31 08:40

김정훈

,  

이지숙

  기자

공유

신동빈 181억·이재현 124억·허창수 90억샐러리맨 급여 조대식·권오현·박정호順

사진 왼쪽부터 허창수 GS 전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조대식 SK수펙스 의장.사진 왼쪽부터 허창수 GS 전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조대식 SK수펙스 의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해 재계 총수 중 가장 많은 총 181억7800여만원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샐러리맨 중에선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의 보수 총액이 가장 많았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 회장은 롯데지주·호텔롯데·홋데제과 등 7개 계열사에서 총 181억7800여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다음으로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CJ주식회사, CJ제일제당, CJ ENM 3개 회사에서 총 124억6100만원을 기록해 두 번째로 많은 연봉을 수령했다.

허창수 전 회장은 지주사 ㈜GS와 GS건설에서 각각 35억2000만원, 55억2100만원씩 총 90억원을 받으면서 3위를 기록했다.

고인이 된 총수까지 포함한다면 조양호 한진그룹 전 회장이 대한항공 등 5개 상장 계열사로부터 702억원을 받아 가장 많았다. 총액 가운데 퇴직소득 647억4500만원이 포함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무보수 경영을 5년째 이어갔다. 사실상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차에서 41억8000만원, 현대모비스에서 28억6000만원 등 총 70억4000만원을 받았다. 대신 정 회장의 보수는 2018년의 95억8300만원보다 약 25억원이 줄었다.

아들인 정의선 수석부회장은 현대차에서 34억200만원, 현대모비스에서 17억8700만원 등 모두 51억8900만원을 받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주사인 SK㈜와 SK하이닉스에 각각 30억원씩 총 60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지주사 LG에서 53억9600만원을 받았다.

올해 ‘샐러리맨 연봉 신화’는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을 제치고 조대식 SK수펙스 의장이 차지했다.

지난해 조대식 의장의 연봉은 전년보다 11억원 이상 늘어난 46억6000만원을 받았다. 급여는 13억원, 상여는 33억6000만원을 기록했다.

권오현 전 회장은 지난해 46억3700만원을 받아 2300만원 차이로 ‘연봉킹’ 자리에서 밀려났다. 권 회장은 지난해 급여 12억4900만원, 상여 32억69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억1900만원을 챙겼다.

그 다음은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으로 45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행사이익)을 포함할 경우 박성도 셀트리온 고문은 지난해 163억9900만원을 받아 눈길을 끈다. 박 고문은 급여 4670만원, 상여 200만원을 받았으나 스톡옵션으로 163억5000만원을 챙겼다.

퇴직금을 포함하면 작년 말 물러난 박진수 LG화학 고문이 72억8200만원을 받았다. 박 고문의 총 보수에는 퇴직소득 55억2800만원이 포함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