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조원태 회장, 조현아 경영복귀 ‘딜레마’

조원태 회장, 조현아 경영복귀 ‘딜레마’

등록 2020.01.07 07:23

수정 2020.01.07 08:14

이세정

  기자

공유

조 회장, 누나 경영복귀 수용으로 가닥 잡은 듯조 전 부사장, 그룹 고위직 요구 관측···겸직 가능성 그룹 안팎 거센 반발···경영권 역공 빌미 제공 우려도

조원태 회장, 조현아 경영복귀 ‘딜레마’ 기사의 사진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가족간 분쟁을 폭로한 누나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과 ‘협상’에 나선다. 조 회장은 조 전 부사장이 요구한 경영복귀를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내외적 반발이 거세지면서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7일 재계 등에 따르면 조 회장은 최근 조 전 부사장 측에 먼저 연락해 최대한 빠른 시간내 만나자고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설 명절 전에 회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조 회장이 이 같은 결단을 내린 배경에는 경영권 위협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 회장은 오는 3월 그룹 지주회사 한진칼의 사내이사 임기가 만료된다. 재선임을 위해서는 조 전 부사장 뿐 아니라 모친인 이명희 정석기업 고문, 동생인 조현민 한진칼 전무 등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조 전 부사장이 지난달 23일 동생이 선대 회장의 공동경영 유훈과 달리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며 공개 비판했다. 이틀 뒤인 25일에는 이 고문 자택을 방문한 조 회장이 모친과 크게 언쟁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이 고문은 “공동경영 유훈을 지켜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오너일가를 제외한 한진칼 주요 주주로는 KCGI(17.29%), 델타항공(10.00%), 반도그룹(6.28%), 국민연금(4.11%) 등이다. KCGI는 완벽한 반대세력이다. 델타항공과 반도그룹 측은 오너가 우호세력으로 분류된다.

조 회장이 연임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 모두의 동의 뿐 아니라 델타항공, 반도그룹 등의 표심을 얻어야 한다. 하지만 델타항공은 조 회장 개인 편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반도그룹 역시 이 고문과 연관이 깊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사실상 조 회장의 확실한 우군이라고 칭할 세력이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조 회장이 집안싸움을 멈추고 누나에게 화해를 요청한 것이란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영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오너가 분쟁이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시장 안팎의 우려도 반영됐다.

조 회장이 던질 수 있는 패(牌)는 많지 않다. 조 전 부사장이 요구하는 경영복귀를 받아주는 방법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막냇동생인 조 전무의 경우 ‘물컵논란’이 불거진 이후 14개월 만인 지난해 6월 경영에 복귀했다. 반면 조 전 부사장은 2014년 ‘땅콩회항’ 이후 3년4개월간 자숙의 시간을 보냈다. 2018년 3월 칼호텔네트워크 대표이사로 복귀했지만 조 전무 사건으로 다시 물러났다. 이후 20개월 째 무직 상태다.

재계에서는 조 전 부사장이 지분에 걸맞는 직책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한다. 조 전 부사장은 그룹 경영 전반에 실력을 행사할 수 있는 한진칼이나 핵심 자회사 대한항공의 고위 경영진 자리를 요구할 수 있다.

겸직 가능성도 크다. 조 전 부사장이 과거 몸 담은 직책은 대한항공 기내서비스 및 호텔사업부문 총괄부사장, 칼호텔네트워크 대표이사, 왕산레저개발 대표이사, 한진관광 대표이사 등이다.

조 전무는 한진칼로 돌아오면서 정석기업 부사장 자리에도 앉았다. 조 회장 역시 한진칼 대표이사와 대한항공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이 고문은 지난해 처음으로 경영전면에 나섰는데 정석기업 고문과 한국공항 자문 2개 직책을 가지고 있다.

한진 오너일가의 겸직 이유로는 상속세 이슈가 꼽힌다. 이들 일가의 상속세는 총 2700억원으로, 단순계산으로 1명당 675억원을 마련해야 한다. 앞서 조 회장 일가가 고(故) 조양호 회장 소유의 ㈜한진 지분을 매각한 것도 맥락을 같이한다.

하지만 조 회장은 조 전 부사장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기 힘든 상황이다. 조 전 부사장이 적극적으로 경영복귀 의지를 나타내면서 그룹 내부와 외부를 가리지 않고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 노동조합은 성명서를 내고 반발했다. 노조는 “(조 전 부사장은) 경영복귀 야욕을 드러내지 말고 사회적으로 인정할 만한 자숙과 반성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선행돼야 함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조 전 부사장 복귀로 반기업정서가 강해지면, 외부세력이 공격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소액주주가 오너가 반대세력으로 쏠릴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진칼 5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 지침)를 적극 행사하기로 한 점도 부담이다. 오너가 분쟁이 안정적인 경영환경을 조성하는데 걸림돌이 된다고 판단될 경우, 위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조 회장이 이 같은 시장 환경을 감안해 조 전 부사장을 설득할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우선 주총에서 경영권 공격을 막아낸 뒤 공식적인 복귀를 추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