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포스코, 서울 인력 최대 500명 포항·광양 배치한다

포스코, 서울 인력 최대 500명 포항·광양 배치한다

등록 2018.10.22 18:34

정재훈

  기자

공유

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포스코가 서울 근무 인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최대 500여명을 포항 본사와 광양 제철소 등 현장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 현장의 경쟁력 회복이 최우선이며 지원 업무 역시 최대한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현업에 밀착해있어야 한다는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개혁 의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22일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내달 3일 취임 100일을 맞는 최 회장이 5일 발표할 예정인 포스코 개혁안에는 이 같은 인력 전환 배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월27일 포스코 회장에 오른 최 회장은 취임하기도 전에 '포스코 러브레터'를 통해 미래 개혁 과제를 수립하기 위한 대내외 의견 수렴에 나섰다. 포스코가 자체 개혁을 위해 공식적으로 국민 의견을 받은 것은 창사 5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최 회장은 이어 취임하자마자 포스코와 계열사 실장·법인장급 이상 전 임원에게 포스코의 새로운 50년을 향한 실질적인 개혁 방안을 제출하라는 이메일을 발송하고 아이디어를 취합했다.

최 회장이 서울 사무소 인력을 포항과 광양 제철소로 내려보내려는 구상은 이번 개혁안의 방점이 현장 중심 경영에 찍힌 것으로 풀이된다. 또 최 회장이 새롭게 제시한 가치인 '위드 포스코(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 실현과도 상통하는 대목이다. 최 회장은 개혁안을 준비하면서 "생산이나 안전, 기술 등 현업 지원 및 관리 인력이 서울 사무소에 과도하게 많이 있다"면서 이들 부서를 통해 제철소 현장 지원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는 전언이다. 최종 확정 단계는 아니지만 최 회장의 개혁안이 원안대로 갈 경우 서울 사무소 전체 인력(약 1500명)의 최대 3분의1이 포항 본사와 광양 제철소로 재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6월30일 현재 포스코 서울 사무소와 포항 본사, 광양 제철소, 해외 사무소 6곳의 직원 수는 총 1만7013명이다.

이 같은 현장 재배치 소식이 알려지면서 포스코 서울 사무소 직원들은 적잖이 당황한 눈치다. 최 회장이 현장 경영 차원 외에도 지역 경제 상생 발전을 위한 이번 개혁안을 밀어붙이기 위해서는 내부 직원의 반발을 잠재워야 하는 숙제도 안은 셈이다. 한 관계자는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서울에서 포항이나 광양으로 옮겨야 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면서 "현업 지원을 현장에서 강화한다는 회사 취지에는 일정 부분 공감하지만 일방적인 조치에 일부 직원은 휴직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지난 100일 동안 개혁안 마련에 힘을 쏟은 최 회장이 내부 쇄신 외에도 여야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 포스코를 향한 곱지 않은 시선을 해소할 만큼의 강력한 방안을 제시할 지 관심을 끈다.

뉴스웨이 정재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