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국당 “김기식, 관행적 적폐와 무엇이 다른가”

한국당 “김기식, 관행적 적폐와 무엇이 다른가”

등록 2018.04.10 10:37

임대현

  기자

공유

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제공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제공

자유한국당이 김기식 금융위원장의 외유논란에 대해 박근혜 전 대통령에 적용된 혐의와 비교하는 논평을 내놓았다.

정태옥 한국당 대변인은 10일 “김기식 건, 박근혜의 묵시적 부정청탁, 제3자 뇌물죄, 관행적 적폐와 무엇이 다른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했다.

김 원장 부정뇌물 외유논란에 대하여 청와대는 지난 9일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으나 그 당시의 관행이었고 적법한 의원외교 활동”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정 대변인은 “이 정부가 입만 벌리면 전 정부 죽이기 차원에서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던 적폐청산과 무엇이 다른지 따져보자”고 말했다.

우선, 정 대변인은 “박 전 대통령에 적용된 가장 큰 죄목이 묵시적 부정청탁과 강요죄”라며 “삼성, 롯데 등 재벌들이 명시적 로비는 하지 않았지만, 대통령 직무의 포괄성에 비추어 묵시적 부정청탁에 의한 뇌물죄로 기소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원장이 본인이 설립하고 운영하는 더미래연구소의 350~600만원의 고액 강의에 산하 피감기관 임직원을 등록하게 한 것은 제1야당 간사 업무의 포괄성으로 보면 묵시적 부정청탁과 강요죄에 해당될 것”이라고 문제 삼았다.

정 대변인은 “박 전 대통령에 적용된 230억원의 뇌물 중 직접적으로 박 전 대통령 개인이나 계좌로 입금된 것은 한 푼도 없다. 최순실과 최순실 딸, 각종 공익재단에 들어간 것”이라며 “김 원장 본인이 해외 여행한 것은 본인의 뇌물죄에 해당되고, 인턴 여비서를 외유에 동행시킴으로써 천여만원의 혜택을 준 것은 제3자 뇌물죄에 해당될 것”이라고 비유했다.

그는 “청와대는 김기식 건에 대하여 ‘그 당시 관행이었다’라고 해명했다”며 “그런데 수천만원의 피감기관 돈으로 인턴 여비서까지 대동하여 나홀로 해외 여행하는 관행이 어느 때 언제 있었는지 우리는 들어본 적 없다”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관행이 아님이 분명하지만 관행이었다고 해도, 박근혜·조윤선은 관행이라도 처벌했는데 김기식은 처벌의 대상이 아니란 말인가”라며 “박 전 대통령과 조 전 수석에게 적용했던 적폐청산의 엄격한 기준을 김 원장에게 적용해줄 것을 국민들은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임대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