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노조와 '계약' 맺고 4일만에 출근한 석유공사 양수영 사장

[단독] 노조와 '계약' 맺고 4일만에 출근한 석유공사 양수영 사장

등록 2018.03.27 06:00

수정 2018.05.15 15:12

주현철

  기자

공유

출근길 막는 노조에게 해외자원개발 부실 규명 약속자체 TF 구성해 하베스트 등 전면 조사 나서기로

<제공=석유공사><제공=석유공사>

노조에 막혀 지난 22일 취임 첫날 부터 사무실에 출근하지 못했던 한국석유공사 양수영 신임사장이 노조의 요구를 수용키로 했다. 정상적인 출근을 위해 노조와 일종의 '출근 계약'을 맺은 셈이다. 양 사장은 석유공사노동조합과 함께 해외자원개발 부실의 원인을 규명하는 자체 TF 출범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27일 석유공사 관계자에 따르면 양 사장은 노조와의 협상테이블에서 노사가 함께 내부에서부터 원인을 규명해나가자는데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양 사장은 캐나다 하베스트 사업뿐만 아니라 다른 해외자원개발 사업 인수과정에서도 다른 부실은 없었는지 제대로 살펴보기로 이견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529.42%에 달한다. 9년 전인 지난 2008년(73.3%) 대비 부채비율이 7배가량 뛴 셈이다. 재무구조 개선작업이 늦어지면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향후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 석유공사는 지난해 초 이사회를 통해 지난해 총 부채비율이 740%에 달하고, 2020년에는 1292%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간 노조는 양 사장이 하베스트 부실 인수를 주도한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과 같은 회사 출신이라는 이유를 들어 반대해 왔다. 앞서 지난 8일 노조는 성명서를 통해 “강영원 전 사장의 배임 혐의 등 법적 책임 여부가 가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같은 회사 출신을 임명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양 사장이 개혁의 의지를 보이면서 노조와의 협상이 어느 정도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노조 관계자는 “석유공사가 내부적으로 엄청난 개혁을 해야 한다”며 “해외자원개발 사업도 문제지만 석유공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을 관리 못한 부분도 해결해야 할 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양 신임 사장은 1957년 출생으로 부산고와 서울대를 거쳐, 미국 텍사스 A&M대학교에서 지구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양 사장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임연구원, 한국석유공사 지구물리팀장 등을 거쳐 1996년 대우인터내셔널(현 포스코대우)로 옮겨 에너지개발팀장, 미얀마 E&P사무소장, 에너지자원실장, 자원개발본부 부사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