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 통합개발 시급”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 통합개발 시급”

등록 2018.03.22 17:17

주성남

  기자

공유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

서울시의회 김인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동대문3)은 22일 “동대문구를 서울 동북권의 새로운 교통 및 상업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 통합개발’이 시급하다”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통합 협의체 구성을 늦추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 통합개발’은 그동안 서울시·동대문구 및 관련 연구기관 등에서 개발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지역 개발 계획 등이 구체화 되지 않아 번번이 좌절됐다.

그러나 최근 송도~청량리~마석 급행철도(GTX-B노선), 금정~청량리~의정부급행철도(GTX-C노선), 분당선 연장, KTX경강선, 면목선 경전철, 청량리4구역 도시정비사업 등이 가시화되는 등 주변 개발 계획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개발 타당성이 급격히 증가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청량리역 철도부지 및 주변 지역과 연계한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계획을 마련해 청량리가 동대문구 지역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1호선 청량리역과 중앙선 청량리역 및 주변 철도부지 약 20만m2, 깊이 51m(지하 6층)의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이 개발된다면 이는 국내 지하공간 개발역사상 최대 규모에 해당된다. 김 의원은 이곳에 통합철도역사를 비롯한 지하버스환승센터, 주차장, 지하상업· 공공문화시설 등 복합적 기능의 공공 인프라가 들어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은 "청량리4구역·백화점·민자역사와 새로 조성될 철도부지 지하쇼핑몰까지 모두 지하로 연결된다면 이용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규모 지하도시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량리역 일대 지하공간 통합개발사업의 실효적이고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들이 통합적으로 추진협의체를 꾸려 유기적으로 협력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번 구상은 청량리 일대의 발전을 위한 위한 마스터플랜”이라며 “청량리가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동북권 중심지역임을 감안할 때, 다양한 발전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간 청량리역 일대 개발은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구체적 대안이 수립되지 않아 추진이 어려웠던 만큼 이번만큼은 계획대로 진행돼 이곳이 서울시 동북권 교통의 허브이자 국제적 명소로 발돋움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ad

댓글